![]() |
▲포스코케미칼은 지난 15일 ESG채권 수요예측 결과 모집 금액 7.8배에 달하는 1조5500억원이 몰려 채권 발행 규모를 대폭 증액했다고 17일 밝혔다. |
포스코케미칼은 지난 15일 ESG채권 수요예측 결과 모집 금액 7.8배에 달하는 1조5500억원이 몰려 채권 발행 규모를 대폭 증액했다고 17일 밝혔다. 기존 계획에 더해 채권 2000억원을 추가로 발행해 인조 흑연 음극재 공장 증설과 양극재 원료 확보 등 배터리 소재 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투자를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발행되는 채권은 만기 3년물 2500억원, 만기 5년물 1500억원으로 구성된다. 4000억원 모두 민간채권평가회사들이 평가한 금리 평균인 개별민평금리보다 낮은 금리로 발행된다. 만기 3년물은 개별민평금리보다 0.25%포인트, 만기 5년물은 0.30%포인트 낮은 이자율이다. 금리는 오는 22일 기준 개별민평금리를 반영해 최종 결정된다.
포스코케미칼은 포스코그룹 내부에서 원료부터 소재 생산에 이르는 가치사슬을 확보하는 등 경쟁력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기준금리 인상으로 자금 시장 유동성이 축소된 상황에서 포스코케미칼에 투자금이 몰린 배경으로 풀이된다.
ESG 채권은 환경, 사회, 지배구조 개선 등 사회적 책임투자를 위해 발행되는 채권이다. 사용 목적에 따라 녹색채권, 사회적채권, 지속가능채권으로 분류된다. 포스코케미칼은 친환경 사업 투자를 위한 녹색채권으로 발행한다.
포스코케미칼은 채권 발행에 앞서 한국신용평가 ‘ESG 금융상품 인증(Assessment) 평가’를 통해 배터리소재 사업에 따른 환경개선효과, 자금관리와 공시 투명성을 인정받아 최고 등급인 ‘GB1’을 지난달 획득한 바 있다. 2035년까지 배터리 소재 사업에서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하고 양·음극재 환경성적표지 인증 획득, 신재생에너지 사용 확대 등 공정 과정에서 탄소배출 감소를 위해 역량을 집중해 온 결과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포스코케미칼에 따르면 한국신용평가는 책임광물 관리 체계 구축, 기업시민 경영이념 기반 사회공헌활동 등 ESG 성과가 탁월하다고 평가했다.
윤덕일 포스코케미칼 최고재무책임자(CFO) 부사장은 "ESG 채권 발행으로 회사 성장성을 향한 높은 기대와 ESG 경영 성과를 투자자에게 다시 한번 인정받았다"며 "배터리소재 사업 경쟁력과 친환경경영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을 이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jinsol@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