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5월 19일(일)
에너지경제 포토

전지성

jjs@ekn.kr

전지성기자 기사모음




尹정부 출범 후 발전비중 원전·신재생↑ 석탄·LNG↓…전원 경쟁 본격화 전망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2.15 15:13

- 탈원전 폐기, 재생E 보급 유지…석탄·LNG 생존경쟁 불가피



- 지난해 발전량, 원전, 재생e 늘고 석탄, LNG는 줄어



- 전문가 "재생E 확대 속도 따라 석탄·LNG 비중 결정될 듯"



- 일각선 "에너지위기 속 석탄발전도 활용해야"

clip20230215134349

[에너지경제신문 전지성 기자] 윤석열 정부 출범 후 원자력과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이 늘고 석탄과 액화천연가스(LNG) 비중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탈(脫)원전 정책 폐기를 선언한 윤석열 정부도 ‘탈탄소’ 기조는 유지하고 있는 만큼 전원 간 경쟁이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화석연료를 사용해 탄소배출이 많은데다 국제 에너지가격 급등으로 상대적으로 연료 수입 비중도 높은 석탄과 LNG은 생존경쟁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clip20230215131327

▲에너지원별 발전량 비중 변화.(단위:GWh). 한국전력


15일 한국전력통계월보 최신호(530호)에 따르면 2022년 원전의 연간 발전량은 17만6054기가와트시(GWh)로 전년 대비 1만8039GWh(11%) 늘어났다. 신재생에너지도 5만3176GWh로 1만90GWh(19%) 증가했다. 반면 석탄화력발전은 19만3231GWh로 4370GWh(2.2%) 줄었다. LNG도 16만3572GWh로 4692GWh(2.8%) 감소했다.

네 발전원의 전체 발전량은 58만 6033로 1만 9067GWh(3.3%)늘었다.

한편 지난해 신재생에너지의 전체 발전량 비중은 9%로 매년 꾸준히 늘어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업계에서는 원전은 신한울 3·4 호기 이후엔 추가적인 건설 계획이 없는 만큼 재생에너지 확대 속도에 따라 석탄, LNG 비중과 퇴출 시기가 결정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제10차 전력기본계획’에 따르면 2030년까지 원자력 비중은 23.9%에서 32.8%로 늘고, 재생에너지 비중은 30.2%에서 21.5%로 줄어들 전망이다. 눈길을 끄는 건 석탄 발전 비중은 20% 수준을 유지한다는 점이다. 재생에너지로 얻는 부족분을 석탄 발전을 유지해 충당하겠다는 포석으로 읽힌다.

노동석 서울대원자력정책센터 연구위원은 "탈탄소를 위해 원전과 재생에너지 비중이 빠르게 늘수록 석탄과 가스가 조기에 퇴출된다. 다만 원전은 신한울 3·4 호기 이후엔 계획 없는 만큼 재생에너지 확대 속도가 관건"이라며 "가스 발전은 석탄 발전에 비해 CO₂를 적게 배출하지만 가격이 비쌀 뿐만 아니라 CO₂보다 더 무서운 메탄을 배출하는 한계가 있다. 브리지 에너지로 활용하기 어렵다. 결국 원전을 늘리되, 동시에 화석연료 발전 비중도 크게 줄여야 지속 가능성을 담보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에너지위기 상황에서 원전 다음으로 발전원가가 저렴한 석탄발전을 효율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박기서 전 대기환경확회장은 "경제 상황이 매우 불확실하고 인플레이션과 초강대국간 패권경쟁으로 국제 정치의 안정성이 그 어느 때 보다 떨어지고 국민 생활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만큼 단기적으로는 전력 부문의 에너지 믹스에서 석탄화력의 역할을 재점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며 "일부 석탄화력에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를 추가함으로서 전력 공급 체계를 재설계하는데 시간을 벌어 줄 수 있다면 나름 상당한 합리성을 보여줄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 "석탄화력은 여러 에너지원들의 시장 가격 변동 시나 일부 에너지 공급 위기 상황에 예비적인 능력을 포함한 적정한 포트폴리오를 구성해 에너지 공급 가격 변동성에 대한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도 있다"며 "이처럼 석탄화력은 중장기적으로 기존과는 다른 좀 더 다양한 역할을 감당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jjs@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