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김기령

giryeong@ekn.kr

김기령기자 기사모음




서울 한옥마을 10곳 더 조성된다…‘서울한옥 4.0 재창조’ 추진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2.14 15:04

한옥 재해석한 ‘한옥디자인 건축물’도 지원 대상



훼손된 개발제한구역 활용, 한옥마을 10곳 조성



시 "한옥 확산 통해 서울 도시경쟁력 제고할 것"

은평한옥마을

▲서울시가 ‘서울한옥 4.0 재창조’ 계획을 발표하고 서울시 은평구 은평한옥마을 같은 현대 한옥마을을 서울 곳곳에 조성하기로 했다. 사진은 은평한옥마을 전경. 사진=김기령 기자


[에너지경제신문 김기령 기자] 서울시가 앞으로 10년간 서울 곳곳에 한옥마을 10곳을 조성한다. 한옥 조성 활성화를 위해 한옥을 재해석한 ‘현대 한옥 디자인 건축물’로도 지원범위를 확대하고 심의기준 완화와 최대 20% 비용 인센티브 지급 방안도 마련한다.

14일 오세훈 서울시장은 서울 중구 서울시청에서 열린 기자설명회를 통해 ‘서울한옥 4.0 재창조’ 계획을 수립하고 올해부터 본격 추진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서울 시민들과 관광객들이 일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한옥을 만나고 누릴 수 있도록 ‘새로운 한옥, 일상 속 한옥, 글로벌 한옥’으로 서울의 도시경쟁력과 매력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2023021501000752800033154

▲지원가능 한옥 범위가 한옥건축양식과 한옥디자인 건축물로도 확대된다. 서울시



◇ 한옥 기준 낮추고 인센티브 늘린다

우선 서울시는 한옥의 개념을 기존 대비 확장해 더 다양하고 개성 있게 건축될 수 있도록 지원범위를 확대하기로 했다.

기존에는 지원 가능 한옥의 기준이 전통한옥, 도시한옥, 신한옥 등으로 제한됐지만 이번 ‘서울한옥 4.0 재창조’ 계획에 따라 한옥건축양식이나 한옥을 재해석한 한옥디자인 건축물로도 범위가 확대된다. 한옥건축양식은 외관은 한옥의 기본 형태나 구조를 유지하면서도 현대식 재료를 사용해 지은 건축물로 △지붕 △한식지붕틀 △가로 입면 목구조 등 최소기준(5개 필수항목)만 충족할 경우 한옥 지원금의 50% 내에서 최대 9000만원까지 지원 가능하다.

2023021501000752800033153

▲지원비 지원가능 한옥 범위가 한옥건축양식으로 확대된다. 5개 최소기준만 충족하면 지원금의 50% 내에서 지원 가능하다. 서울시


심의기준도 개정된다. 창호, 기와, 지붕테라스, 처마길이 등에 대한 기준을 완화하고 창틀이나 대문 등 출입구 계획 등은 심의기준에서 폐지된다. 실제 한옥을 지어 거주하는 분들의 편의가 개선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전통기술을 전수받거나 공간 구성, 창호, 목구조 등 기존 한옥을 잘 살리는 경우 최대 20% 비용 인센티브도 지급할 방침이다.



2023021501000752800033152

▲서울시는 앞으로 10년간 권역별 한옥마을을 10개소 이상 신규 조성할 계획이다. 서울시


◇ 한옥마을 조성 확대…사업 예산 연간 80억원

또한 앞으로 10년간 북촌, 서촌, 은평한옥마을 같은 한옥마을 10개소 이상을 신규 조성한다.

서울시는 서울 동남·서남권부터 동북·도심권까지 단계별로 현대적 한옥마을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자치구 제안공모를 통해 공원해제지역, 훼손된 GB(그린벨트·개발제한구역) 등을 활용해 자연 속 한옥마을을 조성한다. 서울시와 SH공사가 공영 개발할 예정이다. 일부 공익 목적의 요양원·노인시설, 미술관 등의 건축물도 건립 지원을 할 방침이다.

아울러 한옥 주거문화 매력확산과 세계화를 추진하기 위해 ‘K-리빙 스타일’ 확산의 일환으로 북촌과 서촌에 ‘공공한옥 글로벌 라운지’를 조성한다.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옥 리빙콘텐츠를 경험하는 공간으로 특성화해 외국인 전용 플랫폼으로 운영된다. 글로벌 라운지에서는 한옥과 관련된 정보 제공과 다도·도예 같은 체험 프로그램, 한옥 가구·조명·공예품 등 인테리어 쇼룸 전시 등이 제공될 예정이다. 오는 6월 조성을 마치고 7월경 개소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서울한옥 4.0 재창조’ 계획을 통해 지원한옥을 현재 1033동에서 연간 200동씩, 10년간 3000동으로 늘린다는 목표다. 이를 위한 사업 예산은 연간 80억원 규모다.

오 시장은 "그동안의 한옥 정책은 기조 한옥을 보존하는 데만 초점이 맞춰져 있어 한옥 확산에는 한계가 있었다"며 "앞으로는 새롭고 쾌적한 한옥이 많이 조성될 수 있도록 규제와 가이드라인을 완화 등을 담은 이번 계획을 추진하게 됐다"고 말했다.

giryeong@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