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선생님이 어린이들 가르치는 모습. |
환경부는 12일 이같은 계획이 담긴 ‘어린이 환경보건정책 전략 및 세부 시행계획’을 공개했다.
어린이 환경보건정책 전략은 어린이 환경성질환 예방·관리 연구 강화, 어린이활동공간 조사 및 환경안전관리 강화, 어린이용품 조사 및 환경안전관리 강화, 지역 기반 어린이 환경보건 체계 마련, 어린이 환경보건 인식 제고를 위한 교육·홍보 강화 등 5개 추진전략과 31개의 세부 추진과제로 구성했다.
어린이 몸에 들어오는 유해물질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종합적 안전기준을 설정하기 위해 ‘어린이 통합 위해성평가’를 추진한다.
올해 로드맵을 마련해 오는 2025년 위해성평가를 실시하고 필요하면 관련 법을 개정하겠다는 계획이다.
태아기부터 청소년까지 환경오염물질이 임신·출산, 성장발달 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는 ‘어린이 환경보건 출생코호트 연구’를 오는 2036년까지 추진하고 성장단계별 정책을 발굴한다.
법정시설 외 지역 아동센터, 초등학교 실내체육관 등 어린이가 주로 이용하는 시설 조사를 추진하고 필요시 법정시설로 추가 지정한다.
경제적인 취약계층 어린이들이 주로 머무르는 시설 등에는 중금속 등 환경유해인자 저감 진단을 무료로 지원한다.
어린이활동공간 감독기관(지방자치단체·교육청)이 효율적으로 관내 지도·점검 시설을 관리할 수 있는 ‘어린이활동공간 관리 전산시스템’도 개발한다.
어린이용품이 시장에 유통되지 않도록 ‘민관 협력 감시체계’를 운영하고 ‘어린이용품 자가관리 위해성평가 프로그램’을 개발해 어린이용품 조사와 환경안전관리도 강화한다.
지역사회 어린이 환경보건 협치체계 운영, 환경보건복지 지원사업, ‘어린이 환경보건 인정교과서’ 개발·보급 등 내용도 계획에 담겼다.
김지영 환경부 환경보건정책과장은 "환경유해인자에 민감한 어린이가 건강하고 안전하게 자랄 수 있는 환경이 되도록 이번 계획에 담긴 세부 추진과제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axkjh@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