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김종환

axkjh@ekn.kr

김종환기자 기사모음




미세플라스틱 다부처 협의체 출범…범정부 협력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2.12.20 14:50
'치워도 치워도 계속 쌓이네'<YONHAP NO-2405>

▲일회용기 쓰레기.연합뉴스

[에너지경제신문 김종환 기자] 미세플라스틱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정부 협의체가 21일 출범한다. 미세플라스틱 문제 통합 대응과 과학기술 및 정책의 유기적 연계를 위해 범정부가 협력한다.

20일 환경부에 따르면 ‘미세플라스틱 다부처 협의체’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농림축산식품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해양수산부, 식품의약품안전처, 농촌진흥청 등 8개 관계부처가 참여한다.

이번 협의체는 지난 2019년 7월 열린 제6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에서 관계부처 합동으로 수립한 ‘과학기술 기반 미세플라스틱 문제대응 추진전략’의 후속 과제다.

그간 미세플라스틱은 발생부터 유출·확산까지 경로 및 범위가 매우 넓어 미세플라스틱의 발생 저감 정확한 오염 현황 파악 및 위해성 분석 기술 개발 등이 요구됐다.

이에 정부는 미세플라스틱과 관련된 여러 부처의 정책과 연구개발(R&D) 성과를 연계해 미세플라스틱 문제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다부처 협의체를 마련했다.

환경부 환경보건국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다부처 협의체는 정책 분과위원회와 연구개발(R&D) 분과위원회로 구성된다.

미세플라스틱 문제 해결을 위한 부처별 성과 공유 및 정책 반영 방안 마련 등 다양한 안건들을 논의할 예정이다.

정책 분과위원회는 부처별 정책 추진현황을 공유하고 관리 정책 및 제도 개선 과제를 논의하며 관계자 의견수렴 등을 수행한다.

연구개발(R&D) 분과위원회는 부처별 미세플라스틱 연구 추진 현황을 공유하고 그 성과물들의 효율적인 연계 활용이 가능하도록 연구 방향을 수립하는 데 중점을 둔다.

황계영 환경부 환경보건국장은 "미세플라스틱으로 인한 인체 건강 영향에 대한 우려가 있어 이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범부처 간 협력이 절실하다"며 "다양한 부처가 가진 기능을 종합해 효율적으로 미세플라스틱을 관리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axkjh@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