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김준현

kjh123@ekn.kr

김준현기자 기사모음




거여새마을·신설1구역, 공공재개발 최초 정비계획 심의 통과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2.12.08 14:25

지난 7일 서울시 도시재정비위·도시계획위 수권소위원회 가결
공공재개발 인센티브 적용…1654가구 공급 중 468가구 공공주택
연말 정비구역 고시…내년 시공사 선정 후 2025년 착공 목표

[관련사진1] 거여새마을 조감도

▲거여새마을 조감도. LH

[에너지경제신문 김준현 기자] 공공재개발사업 후보지 중 서울 송파구 거여새마을구역과 동대문구 신설1구역이 최초로 정비계획 심의가 통과됐다. 공공재개발 인센티브를 적용해 각각 1654가구, 299가구 주택으로 탈바꿈하게 된다.

8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 따르면 서울시에서 지난 7일 개최된 도시재정비위원회와 도시계획위원회 수권소위원회에서 거여새마을구역 재정비 촉진계획(안)과 신설1구역 정비계획 변경(안)이 각각 가결됐다.

거여새마을구역은 거여역 일대 노후된 저층주거지역으로 규모는 7만1922.4㎡이다. 이번 심의 통과된 재개발 촉진계획(안)에 따라, 제2종일반주거지역 등으로 용도지역이 상향되고 사회복지시설을 기부채납 함에 따라 법적 상한초과용적률이 적용된다.

그 결과 최고 35층 규모 공동주택 1654가구가 공급되며 그 중 공공주택은 468가구로, ‘서울시 임대주택 혁신방안’에 따라 3~4인 가구의 선호도가 높은 59~84㎡형은 294가구, 1~2인 가구 등을 위한 39~49㎡형은 174가구가 공급된다.

신설1구역은 서울 동대문구 신설동 92-5번지 일대로, 지하철 등 교통 편의성 및 성북천변의 우수한 입지 여건에도 불구하고 노후된 주변 환경으로 주목받지 못했다.

그러나 공공재개발사업을 통해 1만1000㎡ 규모 부지에 용적률 인센티브가 적용돼 용적률 299.5% 이하, 높이 25층 규모의 주택이 들어선다. 당초 정비계획(218.8%, 169가구) 대비 130가구 늘어난 299세대가 계획됐으며 그 중 109가구(토지등소유자 분양 제외)는 일반공급, 110가구는 공적임대주택으로 공급될 예정이다.

‘서울시 임대주택 혁신방안’에 따라 임대주택 면적을 확대 반영해 전체 임대 세대수의 37%를 전용 84㎡, 52%를 전용 59㎡로 계획했으며, 완전한 소셜믹스를 구현했다.

한편 거여새마을구역과 신설1구역은 연말에 정비구역 지정(변경) 고시를 앞두고 있으며, LH는 내년 시공자 선정, 2025년 착공을 목표로 사업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오주헌 LH 수도권도시정비특별본부장은 "공공재개발 후보지 선정 이 후 2년도 채 되지 않아 정비구역으로 지정·변경되는 곳으로, 두 구역은 공공재개발사업의 신속함을 잘 보여주는 사례"라며, "앞으로도 주민들과의 긴밀한 협의로 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고 지역주민들의 주거안정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kjh123@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