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김준현

kjh123@ekn.kr

김준현기자 기사모음




서울도심 20분대, 여의도 4.3배 면적 ‘광명시흥’ 지구지정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2.11.28 11:08

2027년부터 주택공급…청년주택 등 다양한 유형 확대
도시철도역 인근 개발밀도 높이는 콤팩트시티 적용
광명시흥 가로지르는 GTX-B 연결 도시철도 신설

광명시흥 위치도

▲광명시흥 지구 위치도. 국토부

[에너지경제신문 김준현 기자] 서울 여의도로부터 12km 떨어진 지점에 위치한 광명시흥 공공주택지구 지구지정이 완료된다. 여의도보다 4.3배 면적이 큰 이 지역에 청년과 서민을 위한 내집마련 기회가 확대될 전망이다.

28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광명시흥 공공주택지구은 공청회 및 전략환경영향평가,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심의 등이 완료돼 29일부터 공공주택지구 지정이 고시된다.

7만가구가 공급되는 광명시흥 공공주택지구는 2개 지자체에 걸쳐 있는 지리적 특성을 고려해 ‘광명과 시흥이 함께 준비하는 Dual Hub City’라는 개발 방향을 목표로 일자리와 교육, 문화 등 정주환경을 우선하는 대규모 공공주택지구(1271만㎡)로 추진된다.

도시철도 역 인근에는 개발밀도를 높이는 ‘콤팩트시티’를 적용해 역 접근성에 따라 개발밀도를 부여하고 대중교통을 중심으로 주거지 및 업무·문화·지원시설용지 등이 배치된다.

또한 서울 도심으로 20분대 진입이 가능토록 광명시흥을 가로지르는 도시철도를 신설해 GTX-B(신도림역, 2030년 개통예정)와 연결하는 철도중심 대중교통 체계가 구축된다.

아울러 지구를 남북으로 관통하는 목감천을 중심으로 주변 산림과 지구 내 양호한 녹지를 유기적으로 연계한 녹지생태축을 구축하고 목감천 수변공간을 활용한 테마별 자연형 공원 등을 조성해 입주민과 지역 주민들도 이용할 수 있는 지역 커뮤니티 공간을 만들어 간다.

도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를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스마트시티로 조성할 예정이며, 이를 위해 국제설계공모를 열어 내년 용역 착수에 들어가 2024년 지구계획 승인, 2025년 착공, 2027년 주택공급을 시작할 계획이다.

박재순 국토부 공공주택추진단장은 "지구계획 수립과정에서 전문가, 지자체 의견을 수렴하고 원주민들과도 지속 소통해 편리하고 안전한 도시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kjh123@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