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이진솔

jinsol@ekn.kr

이진솔기자 기사모음




SK온·에코프로, 中 GEM과 인도네시아 니켈 공급망 구축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2.11.25 09:05

현지 니켈 생산법인 설립 추진...2024년부터 MHP 3만t 생산

사진

▲신영기 SK온 구매담당(앞줄 가운데), 박상욱 에코프로 부사장(오른쪽), 지앙 미아오 GEM 부총경리(왼쪽) 등 3사 관계자들이 24일 오후 서울 종로구 SK서린사옥에서 인도네시아 니켈 중간재 생산법인 설립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에너지경제신문 이진솔 기자] SK온이 국내 양극재 기업인 에코프로, 중국 전구체 생산업체 거린메이(GEM)와 손잡고 인도네시아에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핵심 광물인 니켈 공급망을 강화한다.

SK온은 지난 24일 서울 종로구 SK서린빌딩에서 에코프로, GEM과 인도네시아 니켈 중간재 생산법인 설립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고 24일 밝혔다.

3사는 인도네시아 술라웨시주 모로왈리 산업단지에 ‘니켈 및 코발트 수산화혼합물(MHP)’ 생산공장을 짓고 오는 2024년 3분기부터 연간 순수 니켈 3만t에 해당하는 MHP를 생산할 예정이다. 이는 전기차 배터리 약 43기가와트시(GWh), 전기차 기준으로는 약 60만대를 생산할 수 있는 규모다. 향후 전구체 등 원소재 부문까지 협력을 확대할 계획이다.

3사는 향후 술라웨시주 행자야 광산에서 니켈 산화광을 확보할 계획이다. 니켈 산화광은 노천에서 채굴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채굴 비용이 저렴하고 부산물로 코발트를 추가로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SK온은 설명했다.

니켈 산화광을 원료로 MHP를 만들기 위해서는 고압산침출(HPAL) 제련 공정을 도입한다. 높은 온도와 압력 아래 니켈 원광으로부터 황산에 반응하는 금속을 침출하는 방식이다. 해당 기술을 도입하면 더욱 순도 높은 니켈 화합물을 만들 수 있다. 이미 MHP 생산 경험이 있는 GEM에서 기술을 제공할 예정이다.

니켈 중간재 MHP는 배터리용 전구체 생산에 사용되는 황산니켈 주요 원료로 떠오르고 있다. MHP는 다른 중간재보다 안정성이 높은데다 상대적으로 저렴하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글로벌 황산니켈 생산 원료 중 MHP가 차지하는 비중은 2020년 24%에서 2030년 42%로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3사는 인도네시아에서 확보한 MHP를 활용해 한국에서 황산니켈 및 전구체 생산을 고려하고 있다. SK온이 미국 자유무역협정(FTA) 체결국인 한국에서 황산니켈을 조달해 미국에서 전기차 배터리 생산에 투입한다면 IRA 전기차 보조금 요건 충족도 기대할 수 있다.

니켈은 전기차용 배터리에서 리튬, 코발트와 함께 가장 주요한 원소재로 꼽힌다. 니켈 비중이 높을수록 배터리 에너지 밀도는 높아진다. 업계에서는 배터리 성능을 높이기 위해 양극재에 들어가는 니켈 비중을 점차 높이는 추세다.

대표적으로 SK온의 ‘니켈·코발트·망간(NCM)9 하이니켈 배터리’는 니켈 비중이 약 90% 수준이다. 이에 따라 전기차 배터리에 쓰이는 니켈 수요는 가파르게 늘고 있다. 내연기관차에서 전기차로 전환이 가속하면서 글로벌 니켈 중 배터리 제조용 사용비중은 2019년 4%에서 2021년 13%까지 늘어났다.

원소재 가격 변동성이 더욱 커진 만큼 업계는 어느 때보다 안정적인 소재 공급망 확보가 중요해졌다. 올해 초 니켈 가격은 1t당 4만2995달러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인도네시아는 세계 최대 니켈 생산국이자 매장국이다. 지난해 인도네시아 니켈 생산량은 약 100만t으로 세계 1위다. 니켈 매장량도 2100만t으로 전 세계 니켈 매장량 약 22%에 달한다. 이는 호주(약 22%)와 나란히 세계 최대 수준이다.

SK온은 그동안 리튬, 코발트와 같은 배터리 핵심 원소재 공급망을 강화해왔다. 이달 글로벌 선도 리튬기업 칠레 SQM과 리튬 장기 공급계약을 맺고 2023년부터 5년 동안 총 5만7000t을 공급받기로 했다. 지난달에는 호주 레이크 리소스에 지분 10%를 투자하고 2024년 4분기부터 10년에 걸쳐 리튬 23만t을 공급받는 중장기 계약을 체결했다.

신영기 SK온 구매 담당은 "3사간 협력은 글로벌 니켈 공급망을 안정적으로 구축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도 SK온은 다양한 소재 기업과 협력해 원소재 공급망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jinsol@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