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김기령

giryeong@ekn.kr

김기령기자 기사모음




소규모 단지 뭉쳐서 사업성 높인다…속도 내는 통합 리모델링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2.11.21 15:36

문래동 7개 아파트 통합 리모델링 속도 내



조합 "내년 중 조합 설립·시공사 선정 목표"



사업비 1.5조원 사당 '우·극·신'도 조합 설립 ‘잰걸음’

문래통합리모

▲서울 영등포구 문래동 통합리모델링 단지 모습. 사진=김기령 기자

[에너지경제신문 김기령 기자] 서울 곳곳에서 통합 리모델링 추진 단지들이 사업 속도를 내고 있다. 인근 소규모 단지들이 함께 통합 리모델링 시 향후 대단지 프리미엄을 누릴 수 있어 각광받고 있다.

21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서울 영등포구 문래동 현대 1·2·3·5·6차, 문래두산위브, 대원칸타빌 등 총 7개 단지는 지난해 7월 통합 브랜드 리모델링 추진위원회를 발족한 이후 꾸준히 사업을 추진 중이다.

이들 단지는 단지별로 가구 수가 100~300가구에 불과하다. 소규모 단지 단독 리모델링만으로는 사업성이 낮다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이들 단지들이 모여 통합 리모델링을 추진함으로써 사업성을 높인다는 취지다.

추진위에 따르면 현대3차가 추진 단지 가운데 사업 속도가 가장 빠르다. 지난 8일 영등포구청은 현대3차 아파트 리모델링주택 조합 설립을 인가했다. 현대5차 역시 조합 설립 동의율 67%를 확보해 내년 1월 조합 설립 총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이후 대원, 현대 2차 등도 내년 상반기 중 설립 총회 개최를 목표로 추진 중이다. 리모델링 시 총 7개 단지 가구 수는 기존 1973가구에서 2212가구로 늘어날 전망이다.

문래통합리모3

▲문래 통합 리모델링 조감도. 문래 5·6가 통합 브랜드 리모델링 추진위원회


김남호 추진위원장은 "모든 단지가 시공사 선정을 같이 해야 하기 때문에 최대한 일정을 맞춰서 움직이려고 노력 중"이라며 "내년 상반기 중 모든 단지의 조합 설립 총회를 끝내고 내년 중순이나 하반기에는 시공사 선정까지 마무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추진위 발족 후 1년 여만에 조합설립 인가를 신청하는 단지가 등장하는 등 사업 속도가 빠른 편이다. 이를 뒷받침하듯 이들 단지에는 통합 리모델링을 불황기에 추진하고 호황기에 입주해서 단지 가치를 올리자는 내용의 홍보 현수막도 내걸렸다.

문래통합리모2

▲통합 리모델링을 추진 중인 문래두산위브에 걸린 현수막. 사진=김기령 기자


통합 리모델링 소식에 인근 중개업소에는 매수 문의도 잇따르고 있다.

인근 A 공인중개사사무소 관계자는 "매수자 대부분은 통합 리모델링에 대한 기대로 향후 가치를 기대하고 투자하는 분위기"라며 "다만 가격이 더 하락할 수 있다고 보고 조금 더 관망하려는 수요가 많아서 거래량 자체가 많진 않지만 매수 문의가 계속 이어지고 있다"고 귀띔했다.

문래 현대5차 전용 84㎡는 지난 8월 8억5000만원에 거래됐다. 문래두산위브 전용 79㎡는 지난 5월 9억2500만원에 매매되며 신고가를 경신했다.

정비업계에 따르면 서울 동작구 사당동 우·극·신(우성 2·3단지, 극동, 신동아 4차)은 통합 리모델링을 추진 중인데 주민동의율이 67%를 달성함에 따라 우성 2·3단지와 극동아파트는 지난 5일 조합설립 총회를 개최했다. 우·극·신은 1993년에 지어진 단지들로 총 4397가구에서 리모델링을 통해 5054가구 대단지로 거듭날 예정이다. 사업비만 총 1조5000억원으로 국내 최대 규모 통합 리모델링 사업이다.

이렇듯 리모델링 시장은 꾸준히 성장 중이다.

한국리모델링협회에 따르면 지난 9월 기준 조합 설립이 완료된 리모델링 추진 단지는 총 132개다. 1년 전인 지난해 10월 93개였던 것보다 추진 단지 수가 40% 가량 늘어났다. 추진위원회 구성 등 사업 초기 단지까지 추산하면 리모델링 사업을 추진 중인 단지 수는 더 많다는 게 협회 측의 설명이다.

다만 업계에서는 현재 부동산 시장이 하락 국면에 진입하면서 리모델링 시장도 위축되고 있다고도 말한다. 분양가 하락이 리모델링 일반분양 수익률 저하로 이어질 수 있어서 조합원들의 동의를 얻기 쉽지 않은 상황이라서다. 뿐만 아니라 물류비, 인건비 등 공사비 상승 역시 리모델링 사업에 악재로 꼽힌다.

정비업계 한 관계자는 "재건축 규제 완화 이슈도 나오면서 리모델링 사업이 주춤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그렇지만 용적률이 높거나 단지 규모가 작아서 재건축 추진이 힘든 경우에는 재건축에 비해 규제가 낮은 리모델링으로 선회해서 추진하는 편이 더 나을 수 있다"고 말했다.

giryeong@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