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이진솔

jinsol@ekn.kr

이진솔기자 기사모음




LG전자, 서울시와 ‘어린이 교통안전 서비스’ 선보인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2.11.16 11:12

’어린이 교통안전 특화 시스템 구축’ 실증사업...LG전자 ‘V2X’ 솔루션 활용

111

▲LG전자와 서울시는 LG전자 모바일 솔루션 ‘소프트(Soft) V2X’를 활용한 ‘어린이 교통안전 특화시스템 구축’ 실증사업을 실시한다고 16일 밝혔다.

[에너지경제신문 이진솔 기자] LG전자와 서울시가 자율주행 통신기술을 활용한 어린이 교통안전 서비스를 선보였다.

LG전자와 서울시는 LG전자 모바일 솔루션 ‘소프트(Soft) V2X’를 활용한 ‘어린이 교통안전 특화시스템 구축’ 실증사업을 실시한다고 16일 밝혔다. V2X란 차량을 다른 차량, 스마트폰, 교통시설 등 모든 개체와 통신으로 연결하는 기술로 자율주행을 위한 기반기술 중 하나다.

실증사업은 LG전자와 서울시가 구축한 모바일 앱 ‘교통안전 스마트 알리미’에서 보행자, 차량, 오토바이, 킥보드, 자전거 간 충돌위험을 미리 알려줘 사고를 예방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LG전자 소프트 V2X를 활용해 별도 V2X 전용단말기 없이도 누구나 모바일에서 다운받아 이용할 수 있다. 어린이를 포함한 보행자부터 운전자까지 앱 이용자가 많아질수록 충돌사고 예방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LG전자와 서울시는 어린이가 많이 통행하는 초등학교 주변 어린이보호구역을 우선 대상으로 시범 운영한다. 실증 장소는 도로구조, 교통상황, 실증효과 등을 고려해 서울 강서구 화곡동(2·4·8동) 주변으로 설정했다. 내년 상반기까지 시범 운영 효과를 검증할 계획이다. 앱은 실증 장소인 화곡동 주변에서 자동으로 활성화된다.

앱은 이용자 현재 위치, 이동 방향, 속도 등 데이터를 5세대(5G) 이동통신 클라우드 시스템에 전송해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분석한다. 수집된 여러 정보를 분석해 충돌위험이 예측될 경우 소리, 진동 등으로 경고 메시지를 보내 사고 예방을 돕는다.

앱은 인공지능 기반의 스마트 폐쇄회로 TV(CCTV)와 연동돼 앱을 설치하지 않은 보행자 충돌위험도 감지한다. CCTV는 보행자와 차량을 확인해 위치, 이동 방향, 속도 등을 계산한 후 위험한 상황이 예측되면 앱을 이용하는 운전자에게 충돌위험을 즉시 알려준다. 서울시는 보행자의 통행량이 많은 주요 지점 7곳에 스마트 CCTV 22대를 설치한다.

한편 LG전자와 서울시는 이달 18일 화곡동 주민(학생·학부모 포함)이 ‘교통안전 스마트 알리미’ 앱 기능을 직접 경험해 볼 수 있도록 신곡초등학교 옆 봉제산 공원에서 체험행사를 연다.

제영호 LG전자 ICT기술센터 C&M표준연구소장은 "별도 전용단말기를 사용하는 기존 V2X와 달리 LG전자 소프트 V2X는 모바일만 있으면 이용할 수 있어 서비스 확산에 장점이 있다"며 "지속적인 사고예방 솔루션 개발을 통해 안전한 교통환경을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jinsol@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