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김연숙

youns@ekn.kr

김연숙기자 기사모음




SK E&S, 내년 ‘액화수소 시대’ 본격 시동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2.11.09 18:00

정부·액화수소 공급사·차량 제조사와 ‘액화수소 생태계 조성’ MOU 체결
내년 연간 3만 톤 규모 인천 액화수소 플랜트 가동·40여개 충전소 운영
기체수소 대비 운송·저장 획기적 개선 기대…수소 시대 본격화 앞장

[에너지경제신문 김연숙 기자] SK E&S가 내년부터 연간 최대 3만 톤 규모의 액화수소 생산·유통을 본격화한다. 기체수소 대비 운송·저장 면에서 획기적인 개선을 이뤄 ‘대한민국 액화수소 시대’를 연다는 계획이다.

SK E&S는 9일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환경부, 국토교통부, 효성, 하이창원, 현대자동차와 ‘액화수소 생태계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 체결식은 국무총리를 비롯 관계 장관, 민간위원이 참여해 수소경제 관련 주요 정책을 심의·의결하는 ‘제5차 수소경제위원회’의 사전행사로 진행됐다.

협약 당사자들은 2023년부터 국내에서 액화수소가 원활하게 생산·유통·활용될 수 있도록 수소산업생태계를 조성하고, 수소버스를 포함한 수소 상용차 보급 확산에 함께 나서기로 했다.

SK E&S, 효성, 하이창원 등 액화수소 공급사들은 내년부터 경쟁력 있는 액화수소를 생산하고 안정적으로 유통시키는 데 주력할 방침이다.

정부는 액화수소의 생산·유통·활용 활성화를 위해 기술 개발, 인프라 구축, 활용처 보급 확대에 대한 정책적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현대차는 액화수소의 주요 활용처인 수소 상용차가 차질 없이 생산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유지·보수에 적극 나설 계획이다.

SK E&S는 현재 인천 지역에 연간 최대 3만 톤 규모의 액화수소 생산 플랜트를 건설 중이다. 내년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생산한 액화수소는 전국 거점 지역의 충전소를 통해 공급된다.

SK E&S는 미국 플러그파워사와 공동 설립한 SK플러그하이버스를 통해 버스 차고지 등 수요처 인근에 액화수소 충전소 약 40여개소를 구축하고 있다.

액화수소는 상온에서 기체 형태로 존재하는 수소를 영하 253도의 극저온 상태로 냉각해 액체 형태로 만든 수소다. 기체수소 대비 부피 1/800, 1회 운송량은 약 10배 수준으로 대용량 저장·운송에 유리해 운송비를 절감하는 장점이있다.

충전 속도가 빨라 같은 시간에 기체수소 대비 약 4배 이상의 차량에 충전이 가능하다. 고압 압축이 필요한 기체수소와 달리 대기압 수준에서 저장할 수 있어 폭발과 화재 위험이 낮아 높은 안정성도 자랑한다.

지금까지 국내 수소 생태계는 기체수소를 기반으로 성장해 왔다. 하지만 내년부터는 수소사업 참여를 선언한 기업들의 액화수소 생산과 충전 인프라 구축이 본격화되면서 국내 수소사업이 더욱 활기를 띨 것으로 전망된다.

이미 미국, 일본, 독일 등 해외에서는 250개소 이상의 액화수소 충전소가 운영되는 등 액화수소를 중심으로 수소생태계가 확장되고 있는 추세다.

추형욱 SK E&S 사장은 "액화수소의 본격 생산을 앞둔 시점에서 정부와 액화수소 공급기업, 차량 제조기업이 함께 수소의 저장·유통 방식의 진화를 이뤄내는 초석을 다진다는 점에서 이번 협약의 의미가 있다"며 "SK E&S는 경쟁력 있는 액화수소를 차질 없이 생산·공급해 2023년을 국내 액화수소 확산의 원년으로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 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추 사장은 이날 산업계, 학계, 연구기관 등 국내 수소경제 전문가들로 구성된 제2기 수소경제위원회 민간위원으로 위촉됐다.
youns@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