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김철훈

kch0054@ekn.kr

김철훈기자 기사모음




"수익보다 국민건강"...제약사 '필수의약품' 국산화 박차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2.11.03 18:10

식약처, '국가필수의약품 국산화 5개년 사업' 본격화



필수약 국산화율 70%대...수익성 낮아 국산화율 저조



녹십자, 중외제약 등 '제약사 사명감'으로 투자 지속

녹십자

▲경기도 용인 GC녹십자 본사 전경


[에너지경제신문 김철훈 기자] 식품의약품안전처와 국내 제약업계가 ‘국가필수의약품’ 국산화율을 높이는데 박차를 가하고 있다.

3일 식약처와 제약업계에 따르면, 식약처는 최근 ‘국가필수의약품 안정공급 관리연구사업’의 하나로 국내 제조와 기술개발이 필요한 국가필수의약품 후보 11개 품목을 선정하고 이를 개발, 생산하기 위한 제약업체 모집에 돌입했다.

국가필수의약품 안정공급 관리연구사업은 국가필수의약품 중 수입 의존도가 높아 수급 불안정 우려가 큰 품목을 선정해 올해부터 오는 2026년까지 5년간 총 50억원을 투입해 국산화 비율을 높이는 사업이다.

이 사업에는 코로나 유행기간 동안 품귀 현상을 빚었던 진통제 성분인 ‘이부프로펜’을 주사제 제형으로 만든 소염진통제 ‘이부프로펜 주사제’ 등 ‘완제의약품’과 ‘원료의약품’이 두루 포함됐다.

‘국가필수의약품’ 제도는 각종 감염병 백신과 항생제, 호르몬제, 수술후 혈액응고저지제 등 국민건강을 위해 지속적인 생산 공급이 필수적이나 수익성이 낮아 시장 기능에만 맡겨서는 안정적인 생산 공급이 어려운 의약품을 보건복지부가 ‘국가필수의약품’으로 지정하는 제도이다.

현재 500여개 의약품이 국가필수의약품으로 지정돼 있으나 이들 국가필수의약품의 국내 생산 비율은 만족스런 수준이 아니다. 지난해 말 기준 국가필수의약품의 자급화율은 완제의약품의 경우 74%, 원료의약품의 경우 16%에 불과하다. 탄저병, 폐렴 등 백신의 경우 필수 백신 자급화율은 69% 수준이다.

특히 지난 6월 기준 총 17개 국가필수의약품이 코로나 팬데믹, 우크라이나 사태, 요소수 사태 등으로 생산, 수입, 공급이 중단됐다.

제약업계는 국가필수의약품으로 지정돼 있으면서도 비급여로 국가적 지원이 제공되지 않는 품목도 30%나 되기 때문에 수익성이 낮아 제약업계가 생산을 꺼리는 품목이 많으며 이 때문에 국가필수의약품 국산화율이 좀처럼 높아지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수 십년 간 각종 혈액제제와 간염백신 등 필수의약품 국산화에 주력해 온 녹십자와 국내 최초 항생제 개발을 비롯해 ‘수액’ 국내 공급의 절반 가까이를 담당하는 JW중외제약 등 일부 제약사들은 수익성보다는 국민건강 증진이라는 제약사로서의 사명을 위해 필수의약품 생산·연구개발에 지속 투자하고 있지만 정부 차원의 지원과 제도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이 업계의 지적이다.

식약처 관계자는 "내년 말까지 국가필수약 안정공급 관리연구사업 1~2년차인 1단계 사업에서 우선 4개 품목 이상을 국내에서 제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2단계 사업인 2026년까지 추가로 6개 품목 이상의 국내 제조를 달성해 필수의약품 국산화율 제고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kch0054@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