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정희순

hsjung@ekn.kr

정희순기자 기사모음




‘검은 월요일’ 맞은 카카오…정상화 위해 안간힘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2.10.17 14:00
메일서비스접속불가

▲17일 오전 다음(DAUM)의 메일 서비스가 여전히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에너지경제신문=정희순 기자] 주말 동안 빚어진 카카오 ‘먹통’ 사태 여파로 카카오가 17일 설립 이래 최대 비상사태를 맞이했다.

장애 발생 이후 40시간 이상이 지났지만, 카카오의 일부 서비스는 아직도 완전히 복구되지 않아 이용자 불편이 지속되고 있다. 이번 사태로 피해를 입은 이용자들은 구체적인 피해보상안을, 윤석열 대통령을 비롯한 정치권에서는 근본적인 원인 해결을 주문하고 있는 상황이다.


◇ 40시간 지났는데 아직도 복구 중…尹 대통령 "국민 불편 없도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에 따르면 카카오 서비스 ‘먹통’ 사태를 촉발한 경기도 판교의 SK C&C 판교데이터센터는 이날 오전 6시 기준 약 95% 수준으로 복구가 진행됐다. 이에 카카오의 주요 13개 서비스 중 페이(카카오페이), 게임(카카오게임즈), 웹툰(카카오웹툰), 쇼핑(지그재그) 등 4개 서비스는 정상화가 이루어졌다. 다만 메일, 카카오맵 등 기타 9개 서비스는 일부 기능을 복구 중에 있고, 카카오톡의 이미지·동영상·파일 전송 기능도 아직 완전하게 복구되진 않았다.

카카오의 ‘먹통’ 사태와 관련해 전국적으로 피해가 커지자 윤석열 대통령도 제도적 차원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출근길에서 "만약 독점이나 심한 과점 상태, 더구나 이것이 국가 기반 인프라와 같은 정도를 이루고 있을 때 시장이 왜곡된다면 국민의 이익을 위해 당연히 제도적으로 국가가 필요한 대응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일단 과기부 장관에게 직접 상황을 챙기고, 정부가 예방과 사후 조치에 대해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검토시켰다"며 "국회와 잘 논의해 향후 국민들 불편이 없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 카카오, 비대위 출범…원인 조사·재발 방지 대책·보상 대책 3개 분과로


카카오 서비스 장애로 인한 피해 속출에 당초 "복구가 우선"이라며 말을 아꼈던 카카오는 전날 오후 비상대책위원회를 출범하고 본격적인 사태 수습에 나선 상황이다. 비상대책위원회는 홍은택 카카오 공동체 센터장이 진두지휘하며, 원인 조사를 비롯해 재발방지 대책, 보상 대책 논의를 중점적으로 추진한다.

비대위는 원인 조사 소위를 비롯해 재난 대책 소위, 보상 대책 소위 등 3개 분과로 구성된다. 원인 조사 소위는 이번 데이터센터 화재의 원인 및 전원 공급 지연, 복구 과정 등 정확한 사실을 규명한다. 재난 대책 소위는 이를 기반으로 유사한 사건이 재발하지 않도록 강도 높은 대책을 마련하고, 외부 전문가들의 자문을 거쳐 시행하는 역할까지 담당한다. 보상 대책 소위는 이번 장애로 피해를 경험한 이용자들, 파트너 등 모든 이해 관계자들에 대한 보상 정책을 수립한다.

홍 센터장은 "관계 당국의 우려를 어느 때보다 무겁게 받아들이며 조사와 요청에 성실하게 협조하겠다"며 "강도 높은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함과 동시에 이번 사고로 피해를 입은 분들을 위한 보상 정책을 준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hsjung@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