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4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진성준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2021년 온실가스 다배출 상위 30개 기업의 배출권 할당 현황’ 자료에 따르면 배출량 상위 30개 기업은 총 배출량의 94%(3억9885만t)를 무상으로 배출했다. 이를 가격으로 환산할 경우 7조8608억원이다. 지난해 평균 배출권 가격 1만9709원을 기준으로 산정한 수치다.
포스코, 남동발전, 남부발전, 서부발전, 중부발전, 동서발전, 현대제철, 삼성전자, 쌍용씨앤이, 에쓰-오일(S-Oil) 등 온실가스 배출 상위 30개 기업은 지난해 총 4억2302만t의 온실가스를 배출했다. 이는 국가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6억7960만t)의 62%를 차지하는 것이다.
이들 30개 기업이 지난해 무상할당 배출권으로 배출한 온실가스는 3억9885만톤(94%)으로 집계됐다.
환경부는 지난 2015년 배출권거래제를 도입한 이후 제3차 계획기간(2021~2025)부터 유상할당 대상 업체들에게 배출권의 10%를 유상으로 할당하고 있다. 철강, 시멘트, 화학, 비료, 업종 등 수출·수입 비중이 높고, 생산액 대비 온실가스 감축비용이 높은 온실가스 다배출 업종에는 여전히 100% 무상할당을 적용하고 있다. 발전, 자동차, 건설 업종 등에 제한적으로 10%의 유상할당을 적용하고 있지만, 그 비중은 전체 온실가스 배출권 할당량의 4.4% 수준에 그치고 있다.
진 의원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상향안에 맞춰 본격적인 온실가스 감축 성과를 낼 수 있도록 할당 총량 감축, 유상할당 확대 등 배출권거래제의 실효성을 높이도록 3차 계획의 수정·보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yes@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