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건물 옥상에 설치된 가스냉방기기(GHP). |
[에너지경제신문 김연숙 기자] 가스냉방 보급제도의 한계 극복을 위해 경제성이 확보된 ‘SPC(특수합작법인) 할부프로그램’의 사업화 방안 도입이 필요하다 분석 결과가 나왔다. ESCO(에너지절약사업), 리스·렌탈 등 기존 논의된 사업화 방안은 별도의 제도개선이 선행되지 않는 한 자연적으로 활성화되기 어렵다는 판단에서다.
27일 한국에너지공단이 최근 발표한 ‘가스냉방 사업화를 위한 타당성 연구’ 결과에 따르면 가스냉방은 전력피크 대체효과와 액화천연가스(LNG) 요금 안정화에 크기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스냉방의 발전설비 대체로 약 2595∼2841메가와트(MW) 규모의 전력피크 감소, 약 2106억∼2305억 원의 편익 증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는 800MW급 이상의 복합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소 3개와 맞먹는 수준이다.
가스냉방을 통해 수요가 적은 여름철 도시가스 사용량을 증가시켜 동·하절기 LNG 수요격차 완화와 이를 통한 가스요금 안정화도 얻을 수 있다.
전기생산 발전소는 대규모로 급격한 수요증가 시 대규모 정전 등 문제와 설비증설에 따른 투자, 예비율 문제, 저장성 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
이에 비해 가스냉방은 기존 공급시설 활용, 수요변동에 따른 유연한 공급이 가능해 급격한 냉방수요 증가에 효과적 대응이 용이하다.
이에 정부는 가스냉방설비 설치 및 설계보조금 지원사업을 추진 중이지만 보급 확대는 기대에 못 미치는 수준이다.
2014년 140억 원, 2015년 130억 원씩 평균 10.4만RT(냉방톤·1RT는 약 10평 규모 냉방 능력)) 규모의 가스냉방 보급 확대 실적을 기록한 바 있으나, 2016년 장려금 미지급 사태 이후 집행계획 개정 및 예산 규모 감소로 인해 2018~2021년 평균 지원 실적은 4.7만RT에 불과한 실정이다.
특정 수요처 지원 집중 방지, 중소기업 우선 지원에 대한 요구가 커지면서 2017년 설치지원금 한도가 1억 원으로 설정된 것도 보급 확대에 있어서는 오히려 역효과를 냈다는 분석이다. 이는 대기업(대용량) 참여 감소 및 흡수식 냉온수기 보급 실적 하락현상을 불러왔기 때문이다.
그동안 △ECSO 제도 활용 △리스/렌탈 모델 도입 △환경개선펀드 사업 추진 △가스냉방 보급 플랫폼 구축 등 가스냉방 보급 활성화 방안이 논의됐으나 사업화까지는 이르지 못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이번 보고서에서는 SPC를 통한 저리할부프로그램 도입 및 이를 위한 ‘SPC 한국냉방서비스(주)(가칭)’ 설립을 제안하고 있다.
‘SPC 할부프로그램’형 사업모델은 제조사로부터 가스냉방설비를 매입해 고객과 설치 및 유지보수에 대한 계약 체결에 따른 할부거래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모델이다. 이는 수용가의 초기부담 경감 및 고객 매칭, 생산 유발 등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기존 가스냉방기기 판매 모델과 달리, 분할납부 형식으로 수용가의 초기부담을 경감함으로써 확대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기기도입 상담 및 기기납입인도는 제조사와 진행하고, 리스계약 및 리스요금·유지보수 대금 지불은 리스금융 계열사와의 제휴를 통해 별도로 진행하는 형태의 기존 ‘리스 모델’과 차별화 된다.
SPC 가스냉방 할부프로그램은 경제적 타당성은 확보된 것으로 분석됐다.
다만, 사업 추진 시 할부금리의 수용성, 예산 조달 방법 등에 대한 현실성에 대해 지속적인 검토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업계 한 관계자는 "가스냉방의 주 연료인 LNG는 탄소중립 전환에 브릿지 역할로서 재생에너지보급 전 완충역할 및 수소경제로의 전환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가스냉방은 여름철 냉방전략수요를 낮춰 전력계통 안정화에 기여하는 한편, 석탄발전 등 대형발전원의 건설요인을 줄이고, 전기냉방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 저감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가스냉방 보급 확대 필요성을 강조했다.
youns@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