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여헌우

yes@ekn.kr

여헌우기자 기사모음




고물가·고금리에 소비절벽 오나···국민 10명중 6명 "소비 줄일 것"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2.09.27 14:07

전경련 ‘2022년 하반기 국민 소비지출 계획 조사’



"물가 안정, 금리 인상 속도 조절, 농수산물 수급 안정화 등 필요"

catsAAAAAAAAAAAAAAAAAA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국민 10명 중 6명은 올해 하반기 소비를 줄일 계획인 것으로 조사됐다. 고물가·고금리 기조가 이어지는 가운데 자산시장까지 위축된 데 따른 것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여론조사기관 모노 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9일부터 15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1000여명을 대상으로 ‘2022년 하반기 국민 소비 지출 계획’ 설문을 벌인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7일 밝혔다.

조사결과 응답자의 59.7%는 올해 하반기 소비 지출을 상반기보다 줄일 것이라고 답했다. 소득 분위별로 소득이 낮을수록 지출을 더 크게 줄일 것으로 조사됐다. 소득 하위 20%는 상반기에 비해 평균 7.9% 줄이겠다고 답했다. 그러나 상위 20%는 0.01% 감소에 그쳤다.

소비 지출을 줄이는 이유로는 물가 급등(46.3%), 고용·소득 불확실성 확대(11.5%), 채무 상환 부담 증가(10.6%) 등의 순이다. 품목별로는 여행·외식·숙박(20.4%) 등 대면 서비스 소비와 자동차·전자제품 등 내구재(15.0%), 의류·신발(13.7%) 등의 지출을 줄이는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음·식료품(28.4%), 전·월세 및 전기·가스비 등 주거비(18.8%), 생필품·화장품(11.5%) 등 비 내구재 지출은 상반기에 비해 증가할 것으로 조사됐다.

전경련은 식료품 등의 물가가 급등했지만, 필수 소비재는 소비량을 줄이기 어려운 특성이 있어 하반기 소비 예상 금액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했다.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물가 상승세 지속’을 꼽은 응답자가 절반이 넘는 51.0%로 가장 많았고 금리 인상(28.6%), 주식 등 자산시장 위축(9.6%)이 뒤를 이었다.

전경련은 지속된 물가 상승으로 실질구매력은 감소하고, 금리 인상으로 채무 상환 부담이 가중된 데 더해 주식 등 자산시장 위축으로 인해 미래소득 불확실성마저 확대되고 있어 국민들의 소비 여력이 크게 위축되고 있다고 우려했다. 전경련은 민간 소비의 둔화가 현실화되면 올해 성장률에도 타격이 불가피하다고 봤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기업활력 제고 등 경제의 공급능력 확충을 통한 물가 안정에 주력하고, 선제적 세제·금융지원으로 가계의 유동성 확보를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yes@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