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 동대문 휘경3구역 주택 재개발 현장. 사진=김준현 기자 |
[에너지경제신문 김준현 기자] 역대급 아파트 거래 침몰 속 분양시장 역시 침체 일로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를 반증하듯 주택공급자들의 아파트 분양 심리를 종합적으로 가늠하는 분양전망지수가 통계 작성 후 최저치로 추락했다. 전문가들은 △금리 상승에 대한 부담감 △분양가 상한제 △미분양 우려 등에 의한 분양사업자 심리 위축 등이 분양시장을 꽁꽁 얼어붙게 했다고 분석했다.
21일 주택건설업계에 따르면 주택산업연구원은 이달 전국 아파트 분양전망지수가 43.7을 기록해 지난달(61.3) 대비 17.6포인트(29.4%) 하락했다고 20일 발표했다. 이는 2017년 11월 관련 조사가 시작된 5년 이래 가장 낮은 수치다. 결국 고금리로 인한 부담감과 불확실한 경제상황이 분양 사업자들의 심리를 크게 악화시켰다는 분석이다.
아울러 미분양 증감세를 나타내는 미분양 전망지수 역시 119.7로 전달 124.3보다 하락했다. 분양 물량이 얼마나 나올지 예상하는 분양물량 전망지수도 이달 75로 전월 89.2보다 14.2포인트 떨어졌다.
권지혜 주택산업연구원 연구원은 "금리 상승에 대한 부담감, 불확실한 경제 상황 등이 겹치면서 아파트 분양 사업자들의 심리가 크게 위축됐다"며 "또한 분상제 개편 예고 및 대규모 단지 위주로 공급 일정이 미뤄지면서 계획했던 분양 일정에 차질을 빚는 등 분양을 연기하는 사업자가 많아졌다"고 설명했다.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둔촌주공(총 1만2032가구/일반 4786) △은평 대조1구역(2451/483) △서대문 홍은13구역(827/411) △동대문구 이문1구역(3069/921) △이문3구역(4321/1067) 등 분상제 적용 지역이 분양 지연을 부추기고 있다는 평가다.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현재 서울에서 분양을 준비 중인 모든 단지가 정부의 분양가상한제 정책을 지켜보고 있는 상황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고 말할 정도다.
미분양이 속출할 것으로 우려된 건설업계는 분양 성공 자신감이 떨어지자 가을 성수기를 앞두고도 분양 계획을 또 뒤로 미룰 것으로 관측됐다.
![]() |
▲휘경3구역 인근 아파트 단지 전경. 사진=김준현 기자 |
올 가을 서울 1000가구 이상 분양 예정 단지는 △동대문 휘경3구역자이(1806/719) △마포 마포더클래시(1419/53) △송파 힐스테이트e편한세상문정(1265/296) △중랑 중화롯데캐슬SK뷰(1055/501) 정도다.
이 가운데 일반분양이 500가구 이상 나오는 휘경3구역자이와 중화롯데캐슬SK뷰는 상반기에 나올 예정이었으나 모두 뒤로 밀렸다.
본지 확인 결과 휘경3구역자이는 당초 10월 분양 예정으로 나왔으나 현재 조합원 동호수 추첨이 10월 중순에 이뤄진 후 11월 일반분양을 진행할 것으로 전해졌다. 중화롯데캐슬SK뷰는 동호수 추첨이 이달 말 진행될 예정이고, 일반분양은 기존 9월에서 11월 말이나 12월 초까지 미뤄질 것으로 보인다.
휘경3구역 인근 공인중개업소 A 대표는 "분상제 폐지가 절실하다. 수분양자들 사이에서 새 아파트가 주변 구축 아파트보다 더 저렴해야 한다는 인식이 커지고 있다"며 "가격은 시장이 알아서 조율할 텐데 정부가 나서서 가격을 통제하니 로또분양만 양산하는 꼴이 됐다"고 말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부동산업계에선 분상제 폐지 필요성에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 최근 국토교통부는 분상제 적용지역에 대한 기본형건축비를 2.53% 인상하는 등 현실화에 나섰지만, 그럼에도 건설업계는 이조차 레미콘·철근 등 자잿값 상승 속도를 따라잡지 못해 크게 영향이 없어 폐지 수순을 밟아야 한다는 주장이다.
김제경 투미부동산컨설팅 소장은 "개인적으로 분상제는 폐지돼야 한다고 생각한다. 현재 분상제가 적용되는 투기과열지역 위주로 분양 일정이 지속 밀리고 있는 것이 자명한 현실이다"며 "건설자잿값, 근로자 인건비 등 인상 부담이 크고 조합원의 분담금 과중 납부 우려가 겹쳐 분상제 적용 지역 분양일정은 앞으로도 지속 밀릴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현재는 부동산 시장자체가 상황이 좋지 않다 보니 분상제를 폐지한다고 분양 경기가 살아나진 않을 것 같다"며 "다만 그럼에도 시장에 맞게 체감할 수 있는 현실적인 분상제 개편은 이뤄져야 한다"고 전했다.
kjh123@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