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김종환

axkjh@ekn.kr

김종환기자 기사모음




스마트선박 핵심 국제표준 제정 추진...첫 관문 통과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2.09.14 16:52

산업부 국가기술표준원, 선박-육상 간 데이터 전송 기술 신규작업표준안 채택

스마트선박 개념도

▲스마트선박 개념도

[에너지경제신문 김종환 기자] 우리나라가 스마트선박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선박-육상 간 데이터 전송 핵심기술의 국제표준 주도에 나서 국제표준 제정 절차의 첫 관문을 통과했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우리나라가 국제표준화기구(ISO)에 제안한 ‘선박과 육상 간 통신에 활용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일반 요구사항’이 국제표준 제정의 첫 단계인 신규작업표준안으로 채택됐다고 14일 밝혔다.

국제표준은 신규작업표준안(NP)으로 채택되면 이후 작업반초안(WD)→위원회안(CD)→국제표준안(DIS)→최종국제표준안(FDIS)→국제표준(IS) 등의 절차를 걸쳐 제정된다.

이 국제표준안은 스마트선박의 데이터 통신에 필요한 선박과 육상 간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을 규정하는 표준이다.

선박과 육상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시스템들이 상호호환 가능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주고받을 수 있도록 전송 방법을 표준화한다. 항만, 해운사, 조선사 등 육상의 이해관계자들이 선박 데이터를 공유하고 안정적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보안 기술 등을 제공한다.

이 표준을 활용하면 항만 물류처리 속도에 맞춰 선적과 하역을 적시에 처리할 수 있도록 선박이 운행속도를 스스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항만에 접근하는 선박의 각종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어 보다 안전한 항해가 가능해진다.

이번 국제표준안은 국표원의 국가표준기술력향상사업을 통해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KOMERI)이 개발을 주도했다.

이상훈 국표원장은 "우리 조선산업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해 고부가가치 미래 선박 시장을 선도해 나갈 수 있도록 이 분야의 국제표준화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axkjh@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