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윤소진

sojin@ekn.kr

윤소진기자 기사모음




OTT ‘몰아보기’…추석 맞이 인기작 경쟁 활활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2.09.11 09:00
넷플릭스

▲넷플릭스 모바일 앱 ‘추석! 넷플릭스에 빠지다’ 카테고리 화면 캡쳐.

[에너지경제신문 윤소진 기자] 나흘 간의 추석 연휴도 벌써 절반이 지나갔다. 남은 기간 집에서 휴식을 취하는 ‘홈추족’들을 겨냥한 국내 주요 OTT 업체들의 추천작 홍보 경쟁이 활발하다.

넷플릭스는 ‘컬렉션: 추석! 넷플릭스에 빠지다’를 연휴에 맞춰 론칭하고 특정 주제와 내용에 따라 여러 작품을 한데 묶어 추천한다. 최근 ‘신기한동물사전 그린델왈드의범죄’, ‘미나리’ 등 인기 영화를 신규 업데이트했으며, 연휴가 시작된 9일에는 한국인 마약왕을 소재로 한 ‘수리남’을 공개하고 이용자 모시기에 나섰다. 수리남은 범죄·스릴러 장르 드라마로 배우 하정우의 복귀작이다. 남미 국가 수리남을 장악한 무소불위의 마약 대부로 인해 누명을 쓴 한 민간인이 국정원의 비밀 임무를 수락하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추석 연휴 즐기기 좋은 액션·코미디 물로 최근 공개한 ‘서울 대작전’이 있다. ‘서울대작전’은 배우 유아인, 고경표, 이규형, 박주현, 옹성우가 1988년 서울을 배경으로 한 카체이싱 액션 질주극이다. 이밖에도 넷플릭스는 정주행 필수작으로 지난달 인기리에 종영한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와 넷플릭스의 간판 오리지널 콘텐츠 ‘기묘한 이야기 시즌4’를 꼽았다.

웨이브 역시 대작 해외 시리즈와 신작 오리지널 콘텐츠로 이용자 확보 경쟁에 참전했다. HBO ‘왕좌의 게임’ 마지막 시즌 이후, 3년 만에 프리퀄 작품 ‘하우스 오브 드래곤’은 에피소드당 한화 200억 이상의 제작비를 들인 역대급 스케일의 전투씬으로 눈길을 사로잡는다. 이 드라마는 ‘왕좌의 게임’ 200년 전 왕가 타르가르옌 가문의 내전을 다루고 있으며, 첫 회부터 HBO와 HBO MAX에서 1000만 명이 시청하는 등 기록을 세우고 있다.

배우 권상우가 ‘a저씨’ 역을 맡아 세월의 직격타를 맞은 리얼한 연기를 선보인 현실격공 코미디 ‘위기의 X’도 공개와 동시에 신규 유료 가입 콘텐츠 드라마 부문 2위 오른 화제작이다. ‘위기의 X’는 웨이브 오리지널 콘텐츠로, 희망퇴직·주식떡락·집값폭등까지 인생 최대 하락장을 맞은 위기의 ‘a저씨’가 반등을 위해 영끌하는 6부작 코미디 드라마다. 이와 함께 웨이브는 지난 7일부터 국립극장 공연 실황 영상을 무료로 공개했다. 웨이브에서는 오는 10월 7일까지 1년 이내에 신규 제작된 창극, 무용, 국악관현악 등 총 13편의 전통 공연 실황을 온라인으로 즐길 수 있다.

웨이브 추천작

▲HBO 시리즈 ‘하우스 오브 드래곤’(왼쪽), 웨이브 오리지널 드라마 ‘위기의X’.

티빙은 예능 프로그램에 힘을 준다. 추석 연휴 추천 콘텐츠 기획전을 열고 신작 또는 정주행을 부르는 레전드 예능을 소개한다. 특히 경품이 숨겨진 콘텐츠를 감상하면 추첨을 통해 영화예매권 · 스페셜 굿즈 등 선물을 증정하는 이벤트가 10월 10일까지 진행된다. 기획전에 포함된 추천 콘텐츠는 티빙 모바일 웹과 PC웹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임영웅 첫 단독투어 콘서트 ‘아임 히어로(IM HERO)-서울’ △대세 배우들의 대환장 MT를 그린 예능 ‘청춘MT’ △이별한 커플들의 연애 리얼리티 ‘환승연애1·2’ △7년 만에 돌아온 연애 토크쇼 ‘마녀사냥 2022’ 등이다.

현재 공개된 티빙의 진행 중 이벤트를 살펴보면 오는 13일까지 걸크러쉬 격투예능 ‘씨름의 여왕’ 최종 우승자를 예상해 응모하면 정답을 맞춘 응모자 중 추첨을 통해 50명에게 치킨세트를 증정한다. 18일까지는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를 감상하면 CGV 예매권을, ‘모범형사2’를 1화라도 시청한 이용자에게는 경찰 굿즈 세트를 각각 추첨을 통해 증정한다. 이밖에도 28일까지 ‘유미의 세포들 시즌2’ 시청 이력이 있는 이용자는 응모에 참여하면 추첨을 통해 키링, OST 앨범 등을 받을 수 있다.
티빙 추천작

▲임영웅 첫 단독투어 콘서트 ‘아임 히어로(IM HERO)-서울’(왼쪽)과 배우들의 예능 리얼리티 ‘청춘MT’ 포스터 이미지.


sojin@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