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 1월 서울 강북구 번동 북부수도사업소에서 열린 현장 설명회에서 ‘모아주택’ 개발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
7일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 7월부터 지난 5일까지 추가 공모를 진행한 결과 19개 자치구에서 총 39곳이 신청한 것으로 집계됐다. 앞서 상반기 첫 공모에서14개 자치구에서 30곳이 신청한 것보다 규모가 늘었다.
앞선 공모를 통해 지난 6월 21곳이 대상지로 선정됐으며 해당 자치구에서 하반기 관리계획 수립 용역 착수를 위해 준비 중이다. 현재 16개 자치구 38곳에서 모아타운 사업이 추진 중이다.
이번 공모에는 기존 모아타운 대상지가 없는 9개 자치구(용산·광진·동대문·성북·은평·영등포·동작·관악·강남)에서도 참여했다. 이로써 서울 25개 전 자치구에서 모아타운 추진 의사를 확인했다고 서울시는 전했다.
모아타운은 신·구축 주택이 혼재돼 있어 대규모 재개발이 어려운 노후 저층 주거지를 하나의 단위로 모아서 대단지 아파트처럼 주택을 공급하는 정비모델이다. 주차난 등 저층주거지의 고질적인 문제를 해소하고 무분별한 개별 사업으로 인한 나홀로 아파트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모아타운으로 지정되면 다가구·다세대주택 필지 소유자들이 개별필지를 모아 블록 단위(1500㎡ 이상)로 아파트를 공동 개발하는 ‘모아주택(소규모주택정비사업)’을 추진할 수 있다.
서울시는 사전 적정성 검토와 전문가 선정위원회를 거쳐 다음 달 중 대상지를 최종 선정해 발표할 계획이다. 특히 침수에 취약한 반지하 주택을 순차적으로 없애기 위해 상습침수 또는 침수 우려 지역과 반지하 주택이 밀집한 지역을 우선 선정·검토하기로 했다.
최종 대상지 선정은 대상지에 대한 정량적 평가와 소관부서 사전적정성 검토로 진행된다. 평가점수 70점 이상인 공모 신청지에 대해 도시계획·건축·교통 등 관련 분야 전문가로 구성한 ‘선정위원회’를 열어 모아타운 대상지를 최종 선정한다.
유창수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은 "모아주택과 모아타운은 저층 주거지의 열악한 주거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대안이 될 것"이라며 "빠르고 효과적인 정책 지원을 통해 서울시의 주거환경 개선과 주택공급 확대를 통한 시장 안정화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giryeong@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