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현 모빌리티 투명성 위원회 위원장(한국교통대 교통에너지융합학과 교수)이 6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질의응답을 하고 있다. |
[에너지경제신문=정희순 기자] 카카오T의 택시 배차 시스템에 대한 객관적 진단을 위해 올해 초 출범한 모빌리티 투명성 위원회가 6일 배차 알고리즘에 대한 검증 결과를 발표했다. 위원회가 내린 결론은 가맹 택시든 비가맹 택시든 카카오T 알고리즘 상 고의적으로 차별 배차를 하지는 않는다는 것. 위원회는 가맹 택시에만 장거리 콜 몰아주기를 한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그런 로직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발표했다.
이날 모빌리티 투명성 위원회는 온라인 기자 간담회를 개최하고, 이 같은 내용의 카카오 T 택시 배차 알고리즘 소스코드 검증 결과를 발표했다.
김현 모빌리티 투명성 위원회 위원장은 "소스코드 검증 결과 일반 기사와 가맹 기사, 프로 회원을 구분하는 변수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라며 "단거리와 장거리를 차별해 배차하는 별도의 로직도 존재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어 "위원회는 지난 7월 운영 서버 불시 검증을 통해 카카오 T가 제공한 소스코드대로 서비스가 운영되고 있는 것도 확인했다"고 덧붙였다.
◇ 과거 배차 수락확률 따라 콜 카드 발송…"고의적 차별 아냐"
위원회에 따르면 카카오 T 일반 택시는 사용자 호출정보를 기반으로 배차가 이루어진다. 호출 승객과 직선거리 기준 가장 가까운 배차 가능 일반 기사와 가맹 기사를 검색하고, 콜 카드 발생 후보 기사군을 설정하는 방식이다.
이후 AI(인공지능)가 수락확률이 높은 기사 중 가장 가까운 기사 1명에게 콜 카드를 발송한다. 이때 수락확률은 택시 기사의 과거 호출 수락 행태에 따라 달라진다. 즉, 택시 기사가 콜 수락을 거부하거나 운행 완료를 하지 못한 경우가 많을수록 콜 카드 발송이 이루어질 확률이 낮아지는 것이다.
김 위원장은 "가맹 택시의 경우 호출 승객의 목적지 정보를 볼 수 없어 골라 태우기 영업이 불가능한 구조인 데 반해, 비가맹 택시의 경우 목적지 정보가 노출돼 골라 태우기 영업이 가능하다"라며 "일반 기사의 경우 선택의 자유도가 가맹 기사에 비해 높은 것일 뿐 이를 ‘배차 차별’로 해석하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또 위원회는 "발송된 콜카드의 약 99%는 ETA(승객에게 도착하는 예상 도착 시간) 점수에 따라 배차 받은 것"이라며 "일반 택시 기사의 대기시간당 콜 카드 발송 건수는 100건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기사의 과거 운행 행태 등 영업 방식이 콜 카드 발송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맞지만, 그 영향력 자체는 미미하다는 의미다.
◇ 전문가들 "배차 알고리즘 세부 공개보단 이해관계자 ‘소통’에 힘써야"
올해 1월 발족한 모빌리티 투명성 위원회는 대한교통학회, 서울대 AI 연구원 등 외부기관이 추천한 빅데이터, AI, 교통분야 전문가 5인으로 구성됐다. 김현 한국교통대 교통에너지융합학과 교수를 비롯해 김인희 공주대 도시융합시스템공학과 교수, 김진희 연세대 도시공학과 교수, 여화수 KAIST 건설 및 환경공학과 교수, 이진우 KAIST 조천식모빌리티대학원 교수 등 5인이 참여 중이다. 위원회는 카카오모빌리티 측에 알고리즘 핵심 원리를 외부에 공개하라고 권고, 이에 카카오모빌리티는 지난 4월 배차 알고리즘을 외부에 공개한 바 있다.
김 위원장은 "위원회의 권고로 카카오 T 알고리즘을 외부에 공개했지만, 여전히 많은 기사님들은 ‘배차 알고리즘이 나를 차별하는 건 아닌지’에 대한 의문을 가지고 계시다"라며 "위원회 판단으로는 현재 알고리즘을 더 낱낱이 공개하는 것보다는 핵심 원리에 대해 관련 종사자들에게 더 친절하게 설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위원회는 향후 더 다양한 각계 의견을 수렴해 개선안을 내놓을 것"이라며 "최종 보고 때는 플랫폼 사업자의 공공성에 대해서도 말씀 드리겠다"고 덧붙였다.
다만 일각에서는 카카오모빌리티가 지원하는 모빌리티 투명성위원회의 검증결과를 신뢰할 수 있겠느냐는 지적도 나온다. 투명성 위원회를 논란의 당사자인 카카오모빌리티가 기획했고, 위원회 운영비용 등을 회사가 대고 있어 독립성이 보장되기 어려운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이에 대해 김 위원장은 "위원회 활동을 위한 과제 추진비 등을 지급받고 있지 않다"라며 "위원회 회의를 위한 회의실 섭외비용 및 교통비 등만 카카오모빌리티의 지원을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hsjung@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