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LPG 소형 저장탱크. |
[에너지경제신문 김연숙 기자] 마을단위 소규모 액화석유가스(LPG) 배관망 보급사업이 읍·면단위 중규모로 확대되고, 충전·판매업의 대형·집단화를 통한 LPG 유통구조 개선작업이 속도를 낼 전망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6일 LPG의 5년간 수요전망과 이에 따른 산업 경쟁력 강화 전략 및 추진과제를 담은 ‘액화석유가스(LPG) 이용·보급 시책’을 발표했다.
분산·분산형 보완 에너지인 LPG를 적정하게 활용해 서민, 농어촌 지역 주민들 삶의 질을 개선하는 3대 전략과 7개 세부과제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정부는 LPG 공급 인프라 확충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LPG 배관망 인프라 보급(농어촌 마을), LPG 소형저장탱크 보급(사회복지시설), LPG 기반 분산전원(도서지역) 사업 등을 연계 추진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LPG배관망 구축사업은 현재 대규모(군단위), 소규모(마을단위) 사업에서 읍·면단위중규모(150~1000세대) 사업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에너지 수급관리에도 LPG 역할이 확대된다. 동절기, 가격급등 등 LNG 수급 위기 발생 시 대체 연료로서 LPG 활용을 추진한다.
LPG 혼소, 액화천연가스(LNG)-LPG 겸용 발전, 수소제조 등 에너지 수급관리 활용을 통해 에너지 안보를 강화하는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단계 고비용 유통구조 개선을 위해 LPG 충전·판매업의 유통구조 합리화도 나선다.
정부는 LPG 충전·판매업의 대형·집단화, 공동배송센터 등 LPG 물류 합리화 지원 나설 계획이다.
소비자 보호를 위한 LPG 품질·정량검사, LPG 가격·수급 모니터링 등을 강화해 서민 연료인 LPG에 대한 가격 안정화 지원을 지속 추진한다.
신수요 기반 창출을 위한 각종 지원도 병행한다.
정부는 탄소중립 이행과정에서 중간 가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LPG 충전소 인프라를 활용한 융·복합 수소충전소 전환, 연료전지 등 분산에너지를 활용한 에너지슈퍼스테이션 거점 확산을 지원할 계획이다.
친환경 LPG선박 벙커링 사업 기반마련, 전력피크 분산용 LPG 가스히트펌프(GHP) 보급 지원도 이뤄진다.
산업부는 "LPG 업계, 유관기관 등과 향후에도 함께 긴밀히 소통하면서 탄소중립 이행과정에서 LPG가 중요한 중간 가교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정책지원을 지속해 나갈 계획"이라며 "이번 LPG 이용·보급 시책 추진을 통해 도시가스가 공급되지 못하는 농어촌 소외지역 에너지 사용 환경이 개선되고, 탄소중립 이행과정에서도 LNG와 더불어 중간 가교 에너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한편 국내 LPG 수요는 2020년 약 1019만 톤에서 오는 2026년 1111만 톤으로 소폭 증가할 전망이다.
향후 5년간 수요는 전기·수소차 증가 및 LPG 차량 감소에 따라 수송용은 21.4%로 줄어들고, 납사 대비 높은 가격 경쟁력을 유지하는 산업용(석유화학 등) 수요는 63.5%로 증가할 전망이다.
youns@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