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김준현

kjh123@ekn.kr

김준현기자 기사모음




서울 반지하주택·침수지역 '신통기획'으로 조기개발 기대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2.08.30 14:35

재해취약 자양4동 재도전…응암·창신·서계·상도 지정 유력시
서초 진흥아파트,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으로 개발 탄력

광진구 자양동

▲자양4동 일대에 걸린 신속통합기획 재개발 안내 현수막. 사진=김준현 기자

[에너지경제신문 김준현 기자] 민간이 주도하고 공공이 지원하는 서울시의 ‘신속통합기획’ 재개발 2차 공모가 시작됐다. 지난 1차에서 102곳이 신청을 할 정도로 관심이 뜨거웠던 가운데, 특히 이번엔 반지하주택 밀집지역 및 침수취약지역 등에 가점을 부여한다는 방침을 내세워 해당 지역이 기대감을 모으고 있다.

신속통합기획 재개발은 서울시와 자치구, 주민이 하나의 팀을 이뤄 복잡한 정비사업절차를 하나로 통합한 기획개발이다. 구역지정기간이 최대 5년에서 2년까지 단축되고 건축·교통·환경심의를 통합으로 심의하면서 속도를 높이는 것이 핵심이다.



◇ 자양4동, 침수우려지역·반지하주택 가점 기대감

지난해 신속통합기획 1차 공모 탈락 후 강하게 반발했던 서울 광진구 자양 4동 1·2구역이 구역을 통합하고 재차 공모 준비에 나섰다. 광진구 대표 노후 주거지역인 자양4동은 심각한 주차난과 더불어 침수우려지역이자 반지하주택 밀집지역으로 분류돼 추가 가점을 노리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2020년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분석 결과 광진구는 반지하주택이 1만4112가구로 관악구(2만113가구) 및 중랑구(1만4126가구)와 함께 가장 많은 반지하주택이 밀집해 있다.

30일 기자가 찾은 자양4동 통합 재개발 추진 준비위원회는 주민 동의서 징구에 분주했다. 재개발이 시급하다고 판단한 추진준비위는 광진구청과 지속 협력해서 현금청산 비율을 4% 수준까지 낮췄고, 어느 지역보다도 적극적으로 신통기획을 통한 민간재개발사업에 나설 것으로 기대를 모았다.

추진준비위 관계자는 "현재 주민 동의율 50%(신통의 주민 동의률 30%)이상 확보했고, 향후 조합 설립 등 사업에 속도를 내기 위해 지속적으로 주민 동의서를 징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자양4동 외에도 적극적으로 나서는 지역이 있다. 종로구 창신동 일대가 2차 신통기획 공모를 준비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창신동은 지난 2014년 도시재생 선도지역으로 지정돼 사업을 추진해왔지만 주택공급과 기반시설 등이 미흡하다는 불만이 제기된 지역이다.

또 지난해 1차 공모에서 가장 많은 곳이 신청한 은평구(11곳)에선 응암동 일대가 2차 공모에 재도전한다. 용산 서계동 일대도 2차 공모 준비에 나선다는 입장이다. 주민들은 서계동 통합재개발 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주민 동의서를 징구 중이다. 동작구에선 1차 신통기획 후보지로 선정된 상도14구역에 이어 상도15구역이 신통기획에 참여할 것으로 보인다.

진흥

▲서초 진흥아파트 전경. 사진=김준현 기자

◇ 토지거래허가구역 속출, 우려 있지만 기대감도 커

탈락지 중엔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이면서 재산권을 침해받아 주민들의 불만이 상존하고 있는 곳도 있다. 서울시는 지난해 12월 1차에서 총 21개 후보지 선정 이후 탈락지역 37곳을 포함해 최근 신반포2차 및 서초 진흥아파트 등 토지거래허가구역을 지속 지정 중에 있다.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에 대해 강남역 일대 A 공인중개업소 대표는 "앞으로 재개발 구역으로 지정될지 안 될지도 모르는 상황에서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어 주민들의 재산권 침해가 일어나고 있다"고 답했다.

신통기획 2차 모집은 그럼에도 흥행이 예상되고 있다. 일례로 이달 기록적인 폭우로 인해 침수피해를 크게 입었던 강남역 인근 서초 진흥아파트는 최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되고 신속통합기획 추진탄력을 받는 중이다.

1979년 준공된 진흥아파트는 전용면적 101~160㎡, 615가구로 구성돼 있다. 이 단지는 재건축 추진에 난항을 겪다가 서초구로 지구단위계획이 편입되며 신통기획 대상지로 선정돼 재건축사업에 청신호가 켜졌다.

김인만 김인만부동산경제연구소장은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인 서초 진흥아파트가 사업에 탄력을 받는 것을 보더라도 신통기획은 기간단축이라는 큰 매력을 갖고 있다"며 "주민들이 공공재개발보다는 민간개발을 선호하기에 신통기획 2차 역시 신청자가 몰려들 것이다"고 전망했다.

서진형 공정주택포럼 공동대표(경인여자대학교 교수)는 "서울시가 신통기획을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지만 앞으로도 구성원과의 갈등은 지속될 것이다"며 "다만 신통기획이 사업성이 안 나오는 지역의 행정절차를 적극 이끌어낼 수 있고, 반지하주택을 재개발함으로써 서울시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것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고 진단했다. kjh123@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