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의 한 부동산중개사무소 앞에 게시된 오피스텔 매물 안내문. 연합뉴스 |
29일 부동산R114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통계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전국 오피스텔 매매 건수는 총 2만5961건으로 지난해 상반기(3만1859건)와 하반기(3만298건) 대비 각각 18.5%, 14.3% 감소했다.
가격별로 보면 9억원을 초과하는 고가 오피스텔 매매는 올해 상반기 140건으로 작년 상반기(354건), 하반기(339건)와 비교해 각각 60.5%, 58.7% 줄었다. 9억원 이하 매매는 2만5821건을 기록하며 지난해 상반기(3만1505건)와 하반기(2만9959건) 대비 각각 18.0%, 13.8% 줄었다.
지난해에는 지난해 정부가 주거형 오피스텔의 바닥난방 허용 기준을 기존 전용면적 85㎡ 이하에서 120㎡까지 확대하기로 하는 등 오피스텔에 대한 규제를 완화하면서 오피스텔 매매가 증가했다. 지난해 전국 오피스텔 매매는 6만1878건으로 연간 처음으로 6만건을 넘어섰다. 지난 2006년 관련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가장 많은 수준이다. 특히 아파트와 비슷한 구조·면적을 갖춘 ‘아파텔(주거형 오피스텔)’의 인기가 높았다.
하지만 올해 들어 오피스텔 매매 건수가 큰 폭으로 감소한 데는 올해부터 오피스텔 매수에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가 적용되면서부터다. DSR 적용으로 대출 한도가 낮아진 데다 기준금리 인상으로 이자 상환 부담도 커지면서 오피스텔에 대한 인기가 올해 들어 크게 줄어든 것으로 풀이된다.
또한 물가 상승 등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면서 부동산 시장에 매수 심리 위축세가 확산한 점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오피스텔 매매가는 0.03% 떨어졌다. 지난 2020년 11월(-0.03%) 이후 1년8개월 만에 하락 전환됐다. 수도권 오피스텔 매매가도 지난달 보합(0.00%)을 기록해 2020년 11월(-0.01%) 이래 지속했던 상승세를 멈췄다.
부동산R114 관계자는 "중대형 오피스텔은 소형 대비 높은 희소성과 주택 규제에 따른 반사이익으로 수요가 늘고 가격이 많이 올랐다"면서 "가격이 높아진 데 반해 오피스텔 매수에 DSR 규제 적용, 금리 인상이 맞물리면서 당분간 수요 감소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giryeong@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