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수소자동차 충전 모습. |
29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30일부터 하이넷(Hynet)이 운영하는 인천공항(T2) 수소충전소에서 일반국민이 참여하는 셀프충전 실증사업이 본격 시작된다.
셀프충전 시 약 300~400원/kg이 할인된 가격이 적용된다. 1회 5kg 충전 시 약 1500~2000원을 절약할 수 있다.
그동안 국내 수소충전소는 미국, 일본 등 해외와 달리 운전자의 직접 충전을 금지해 왔다. 수소차 운전자의 편의성 제고 및 수소충전소 경제성 확보를 위해 셀프충전 도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꾸준히 제기돼 온 상황이다.
산업부는 지난해 12월 규제샌드박스 승인을 거쳐 셀프충전 안전관리 규정, 셀프충전용 안전장치(충전기 동결방지, 충전노즐 낙하방지 장치 등) 및 충전제어 프로그램 개발을 완료해 이번 실증사업에 나서게 됐다.
수소 안전성을 확보하면서도 기업 활동을 촉진할 수 있는 19개 규제 개선도 이어진다.
그동안 철근콘크리트제만 허용됐던 수소충전소 방호벽은 콘크리트블럭, 강판제 등으로 다양화 되고 수전해 설비 스택은 파열시험 대신 스택 특성을 고려한 검사기준이 개발·적용된다.
수소충전소 밖 시설을 보호하는 방호벽의 경우 그동안 철근콘크리트제 방호벽만 허용됐으나 방호벽 강도가 동등한 경우 콘크리트블럭, 강판제 설치도 허용된다.
수전해 설비 내 핵심부품인 스택(Stack)은 파열시험 대신 스택의 내구성 검증하는 검사기술 및 기준 개발이 이뤄진다.
스택은 수전해 설비의 핵심부품로 ‘고압가스안전관리법’에 따라 내구성 검증을 위한 파열시험 대상이다. 시험 중 파열 시 사업자의 경제적 손실이 약 10억 원/MW에 달할 정도로 과다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다양한 수소생산설비 개발, 상용화를 위해 열분해 방식의 수소생산설비도 수소추출설비 범위에 포함되고 안전기준 마련도 이어진다.
폐플라스틱 등 연료의 열분해 방식 수소생산설비는 현행 ‘수소법’ 하위 가스기술기준 상 ‘수소추출설비’ 범위에 미포함된 상태다.
사업소 밖 액화천연가스(LNG) 배관 설치 및 안전기준 마련도 이어진다.
현재 기체천연가스(NG) 배관과 달리 액화천연가스(LNG, -162도) 배관을 사업소밖에 설치하기 위한 안전기준이 부재한 상태다.
일부 민간기업에서 액화수소 생산의 경제성 제고를 위해 타 사업장(LNG터미널)에서 LNG를 공급받아 LNG 냉열 활용을 추진 중이어서 사업소 밖 LNG배관 설치 또한 필요한 것으로 지적된다.
이에 따라 액화수소 생산 및 LNG 냉열 활용 등 신사업 지원을 위해 LNG 배관 설치 및 안전기준이 마련될 전망이다.
박일준 산업부 2차관은 "수소 셀프충전은 충전소 운영시간 확대, 저렴한 수소가격 등 운전자의 충전 편의성 향상과 운영비 절감 등 충전소의 경제성 제고라는 점에서 수소차 운전자와 충전소 사업자 모두를 만족시키는 바람직한 규제개선 사례"라며 "앞으로도 수소산업 뿐만 아니라 에너지안전 분야에서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면서 사용자와 기업 모두 혜택을 누릴 수 있는 규제혁신 과제를 지속 발굴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개선해 기업 환경을 활성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박일준 2차관은 이날 국내최초 셀프 수소충전소인 인천공항(T2) 수소충전소를 방문해 안전장치 등 셀프 실증 준비상황을 점검하고, 셀프충전을 시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