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진수 환경부 물관리정책실장이 23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도시침수 및 하천홍수 방지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
환경부는 23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갖고 이같은 내용을 담은 ‘도시침수 및 하천홍수 방지대책’을 마련해 발표했다.
지난 8월 초 수도권 등에 기록적인 집중호우로 발생한 인명 및 재산피해가 재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대책을 내놓은 것이다.
이번 대책에 따라 내년 홍수기(6월 21일~9월 20일) 이전까지 서울 신림동 도림천 유역에 인공지능(AI)를 이용한 홍수예보 체계를 시범구축하고 전국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기존 하천예보에서 강우·하천수위 모니터링과 하수도 유량계측까지 통합한 것으로 홍수 위험시 골든타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AI홍수예보 구축전이라도 전국 단위로 기존 위험지도 등을 활용해 취약계층을 위해 대피로 설정 등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대응체계를 마련한다.
아울러 도시침수 예방 인프라 대책으로 서울 강남역과 광화문에도 대심도 빗물터널이 설치하고 전국으로 확산할 계획이다.
대심도 빗물터널은 지하에 큰 저류조(터널)를 설치해 도심의 빗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했다가 인근 하천으로 내보내는 시설이다.
이와 함께 하천범람 예방 인프라 대책으로 지류하천인 도림천에 지하방수로를 설치해 전국으로 확산할 예정이다.
서울시와 협력해 강남역 빗물터널에 3500억원, 광화문 빗물터널에 2500억원, 도림천 지하방수로에 3000억원을 투입한다.
환경부는 예비타당성조사 면제를 통해 2023년에 설계에 착수해 2027년 완공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현재 연 1000억원 수준의 하수도 개량 예산을 2023년에는 49% 증액하고 연 3500억원 수준의 국가하천 정비 예산은 2023년에 43% 증액 편성해 지방의 취약지구에 우선 투자할 계획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이러한 대책들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기 위해 전담조직으로 ‘도시침수대응기획단(가칭)’을 출범시키고 연말까지 종합대책을 수립해 우선순위가 높은 사업부터 단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axkjh@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