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말정산 환급금 조회…내 13월의 월급은 얼마일까?
금융증권부 나유라 기자
![]() |
국내 자본시장에서 공매도는 매년 뜨거운 감자였다. 개인투자자는 수년 전부터 공매도를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이는 좀처럼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금융당국은 공매도에 대해 증시 과열 때 지나친 주가 폭등을 막고 하락장에서는 증시의 유동성을 높이는 순기능이 있는 만큼 폐지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자본시장 전문가들 역시 공매도를 폐지하는 안에 대해서는 반대 입장을 피력했다.
그러나 개인투자자들 입장에서 공매도는 여전히 기울어진 운동장이라는 인식이 많다. 외국인, 기관투자자와 달리 개인투자자는 공매도를 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당국은 개인들의 불신을 해소하기 위해 불법 공매도 처벌을 강화하고 개인들에게도 공매도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제도를 개선하고 있지만 오는 3월 공매도 재개를 앞두고 공매도 금지를 연장해야 한다는 주장은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문제는 공매도 재개 여부를 놓고 국회의원들까지 합심하면서 가뜩이나 뜨거운 공매도에 불을 붙이고 있다는 것이다. 더불어민주당 양향자 최고위원은 전날 라디오에 출연해 "이 상태로 공매도가 재개된다면 시장의 혼란 뿐만 아니라 개인투자자들의 반발이 엄청날 것"이라고 강조했고, 박용진 의원 역시 페이스북에서 금융위원회를 향해 공매도 재개를 신중하게 검토해야 한다고 재차 촉구했다.
사실 국회의원들이 공매도 연장을 촉구하는 것은 오는 4월 7일 치러지는 서울·부산시장 보궐선거와 무관치 않다. 최근 국내 주식시장에서 개인투자자의 힘이 커진 상황에서 3월 16일 예정대로 공매도가 재개된다면 표심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다는 판단이다. 결국 일부 의원들은 표심을 잡기 위해 공매도를 재연장해야 한다며 금융당국에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는 것이다.
언제부터 공매도가, 아니 자본시장이 정치인들의 ‘표심잡기’에 희생양이 됐나. 공매도는 단순 우리나라 개인투자자들에게만 국한된 이슈가 아니다. 외국인 등 국내 자본시장에 참여하는 모든 이들이 공매도 재개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자본시장법 및 시행령에는 증권시장의 안정성 및 공정한 가격 형성을 해칠 우려가 있을 때 거래소가 금융위의 승인을 거쳐 공매도를 제한하도록 규정했다. 자본시장법 및 시행령 어디에도 선거 시기, 정치인들 전략에 따라 공매도 재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는 점은 명시돼 있지 않다. 공매도 재개 여부는, 공매도 금지를 결정했을 때와 마찬가지로 국내 증시를 둘러싼 대내외적인 시장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결정할 문제다. 금융당국은 누구의 압력이나 요구에 흔들리지 않고 보다 냉정하게 공매도 재개 여부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정치인들의 개입은 결코 자본시장 경쟁력과 신뢰도를 보장하지 않는다는 것을 명심해야 할 때다.
< 저작권자 ⓒ 에너지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대한민국 경제의 힘, 에너지경제>
실시간 Live
연말정산 환급금 조회…내 13월의 월급은 얼마일까?
'카드포인트 현금화' 1주일새 778억원 통장으로 '쏙'
지난해 실업자 110만명…코로나 한파 덮친 고용시장, 외환위기이후 최악
국세청 연말정산 간소화…카톡·통신사 등 민간인증서 사용은?
中, 개인정보보호 강화 입법 속도…"국내 기업 주의 필요"
'임상2상 발표' 셀트리온 주가, 선반영? 40만고지 돌파?
100조 몸값 LG에너지솔루션 IPO 출격...주관사 선정엔 ‘살금살금’
2차전지株 나인테크 주가 급등…5500원 돌파
'최대실적, 인력감축 적기?'...미래에셋대우-KB증권, 명퇴 배경은
'비상장' 한화에너지 주가에 관심?…태양광 호재에 한화 관련주 상승
알테오젠, JP모건서 글로벌 제약사와 ‘ALT-B4 기술수출’ 논의
에이치엘비 리보세라닙, 美 ASCO서 대규모 완전 관해 사례 입증
셀트리온 "렉키로나주, 회복기간 단축 및 중증 54% 감소 확인"
삼성전자 ‘모바일 혁신’ 갤럭시S21 베일 벗었다
셀트리온 치료제 임상3상 허가 전 투약…"게임체인저는 못돼" 평가도
Opinion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