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최아름 기자

car@ekn.kr

최아름 기자기자 기사모음




[에경|건설] 전국 LH 현장 위로 '드론' 뜬다…후보지 조사부터 3D 데이터 축적까지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18.01.03 16:11
clip20180103132333
[에너지경제신문 최아름 기자] 사람이 갈 수 없었던 위험한 건설 현장에 드론이 투입된다.

국토교통부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238조원 규모의 215개 사업지구에서 조사·설계·공사관리 등에 드론을 우선 활용하고 향후 지속확대하겠다고 3일 밝혔다. 이르면 2월부터 드론이 토지 보상을 위한 측량과 후보지 조사를 위해 활용되며 회전이 가능한 드론을 위험한 현장으로 비행시켜 다각도에서 바라본 현장 데이터를 수집할 수도 있다.

LH는 그간 용역·시범운용 등을 통해 계획부터 시설물 유지관리까지 주요 사업 분야에서 드론의 활용성을 검증해왔다. 가장 먼저 활용되는 곳은 후보지조사, 보상을 위한 지적·지형도 제작이며 현황조사측량, 건축설계 등 설계 과정과 단지·도로·건물 등의 시공, 자산 유지·관리, 홍보 활동에도 활용된다. 전국 LH 사업장에 드론이 전면으로 활용될 경우 연간 250억원의 신규 시장이 형성되고 항공촬영 업무에 투입되던 연간 130억원의 비용은 절반 수준으로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항공사진과 달리 기상 등 주위 환경의 영향도 상대적으로 덜 받기 때문에 운영가능일도 3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LH는 국산기술로 제작된 드론 25기를 도입했으며 30만㎡규모 이상의 지역에서는 외주 업체에게 드론 운용을 맡길 예정이다.

수시로 확보되는 드론 영상, 지적·지형도를 활용해 토지 보상과 후보지 조사에 활용하며 드론 영상 데이터를 축적해 3차원 지형모델을 제작한다. 단지 공사에서는 관로·맨홀·구조물 등 다양한 설계도면을 중첩해 관리할 수 있다. 주기적인 공사현장 데이터의 축적으로 시기별 공사 통계 데이터의 정확성도 향상될 것으로 보인다.

드론으로 축적한 데이터를 활용한 원스톱 운영시스템도 구축된다. 전국 LH 사업지구 내에서 비행하는 모든 드론은 사전 승인되어야 하며 중앙통제에 따라 현장에 있는 내비게이션, 스마트폰 뷰 등 지상관제장비를 통해 비행한다. 모든 영상은 중앙 통제실로 실시간 전송되며 GIS 정보로 변환된다. 변환된 정보는 현장으로 재전송되며 빅데이터 서버인 ‘도시플랫폼’에도 저장된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