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도군, 부산 유기농·귀농귀촌박람회서 지역 농업·정착지원 홍보
귀농·귀촌 상담·농특산물 판매·정착 프로그램 안내 등 맞춤형 정보 제공
▲20일부터 23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는 '제15회 부산 유기농·친환경·귀농귀촌박람회'에 참가해 귀농·귀촌 상담과 농업정책 홍보, 지역 농특산물 전시·판매 등을 위한 홍보부스를 운영하고 있다. 제공=청도군
청도=에너지경제신문 손중모기자 청도군은 청도군귀농귀촌종합지원센터와 함께 20일부터 23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는 '제15회 부산 유기농·친환경·귀농귀촌박람회'에 참가해 귀농·귀촌 상담과 농업정책 홍보, 지역 농특산물 전시·판매 등을 위한 홍보부스를 운영하고 있다.
이번 박람회는 수도권과 영남권 도시민이 대거 참여하는 대표 귀농·농업 박람회로, 청도군은 개막 첫날부터 높은 관심을 받으며 활발한 홍보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군은 이번 참여를 통해 청도의 농업 경쟁력과 안정적 정착 여건을 알리고, 도시민에게 실질적이고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홍보부스에는 귀농귀촌종합지원센터 전문 상담 인력이 상주해 귀농 준비 단계별 컨설팅, 정착 지원제도 안내, 지역 유망 작목 소개 등 다양한 상담을 진행한다.
특히 청도군 귀농·귀촌 인구 데이터와 기존 정착인의 성공 사례를 결합한 '데이터 중심 상담'은 예비 귀농인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부스에서는 청도군 대표 농특산물 전시뿐 아니라 현장 판매도 함께 이루어지고 있다.
청도반시와 가공품, 버섯, 꿀 등 지역 농업 강점을 보여주는 다양한 품목이 관람객의 관심을 끌고, 즉석 구매가 가능해 지역 농가의 판로 확대와 소득 증대에도 도움이 되고 있다
김하수 군수는 “부산·경남권 도시민은 청도군 귀농·귀촌의 핵심 유입층"이라며 “정착 지원정책과 교육 프로그램, 공동체 네트워크 등 청도가 준비한 실질적 정착 기반을 널리 알리겠다"고 말했다.
청도군은 이번 박람회를 계기로 도시민과의 접점을 확대하고, 박람회 종료 후에도 상담자 사후 관리, 귀농·귀촌 체험 프로그램 안내 등 지속적인 정착 지원 활동을 이어갈 계획이다.
◇영천시, '기업 데이터 플랫폼 구축' 중간보고회 개최
기업 현황 통합·시각화…지원사업 연계하는 정책 기반 마련
▲지난 20일 시청 영상회의실에서 '기업 데이터 플랫폼 구축 용역 중간보고회'를 개최했다. 제공=영천시
영천=에너지경제신문 손중모기자 영천시는 지난 20일 시청 영상회의실에서 '기업 데이터 플랫폼 구축 용역 중간보고회'를 열었다.
이번 보고회는 기업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된 현황을 시각화해 공유하고, 기업지원 사업 관련 부서가 참여해 의견을 교환하기 위해 마련됐다.
해당 용역은 관내 기업 정보를 통합·시각화해 통계 분석과 정책 활용도를 높이고, 시가 추진 중인 기업지원사업과 연계할 수 있는 기업 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하는 사업이다.
특히 기업별 기본현황, 업종·규모, 주요 지표, 지원사업 참여이력 등을 한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설계돼 행정 효율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관리자 페이지를 통해 기업 정보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어 변화하는 기업 상황을 신속히 반영하고, 부서 간 정보 공유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반도 마련된다.
시 관계자는 “중간보고회에서 제시된 의견을 최대한 반영해 플랫폼 완성도를 높이겠다"며 “기업 데이터를 활용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지원 환경을 구축해 관내 기업 성장 기반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영천시의회, 정례간담회서 완산동 고분군 정비·농기계·영농부산물 조례 등 7건 논의
“문화재 조사·도로 계획 연계 필요"…민생·농업현안 중심 조례 검토
▲지난 20일 전체 의원 정례간담회를 열고 완산동 고분군 복원정비사업 시행계획을 포함한 총 7건의 안건을 상정해 의견을 나눴다. 제공=영천시의회
영천=에너지경제신문 손중모기자 영천시의회는 지난 20일 전체 의원 정례간담회를 열고 완산동 고분군 복원정비사업 시행계획을 포함한 총 7건의 안건을 상정해 의견을 나눴다.
간담회에는 의원과 집행부 관계 부서장이 참석해 주요 현안과 조례 제·개정 안건에 대해 다각도로 논의했다.
먼저 '완산동 고분군 복원정비사업 시행계획'과 관련해 하기태 의원은 “문화유산 발굴과 고분 정비사업 추진 시 작산동~완산동 간 군부대 직선도로 주변 문화재 조사도 함께 진행해야 예산과 행정 효율을 높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상호 의원은 “문화재 발굴에 따라 도로 선형 변경 등 혼선이 발생할 수 있는 만큼 부서 간 협력이 필수"라고 강조했으며, 김종욱 의원도 “사업이 표류하지 않도록 관련 부서가 총괄해 차질 없이 추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영천시 농산물도매시장 업무규정 전부개정안' 심의 과정에서 김상호 의원은 “도매시장법인의 임원이 경매사를 겸하는 구조는 이해충돌과 공정성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며 법률적 검토와 제도 개선을 요구했다.
이영우 의원은 “지역 실정에 맞는 현실적 규정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영기 의원이 대표발의한 '영천시 소형특수농기계 면허취득교육비 지원에 관한 조례안'은 무면허 운전으로 인한 농업 현장의 안전사고를 줄이고, 농업기계화 촉진과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를 모았다.
권기한 의원이 발의한 '영천시 영농부산물 안전처리 지원 조례안'은 매년 반복되는 불법 소각 문제를 개선하고 파쇄 등 친환경 처리 방식을 확대해 자원순환, 농업환경 개선, 산불 예방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김선태 의장은 “이번 간담회를 통해 주요 민생 현안에 세심하게 대응할 수 있었다"며 “다가오는 제249회 정례회에서 논의 내용을 충실히 반영해 변화와 혁신을 이끄는 의회가 되겠다"고 밝혔다.
◇영남대, '2025 세계 최고 영향력 연구자' 국내 대학 TOP5 올라
화학공학·의생명공학 분야서 4명 동시 선정…글로벌 연구경쟁력 재확인
▲왼쪽부터 이용록, 최인호, 수만타 사후, 라지 아추단 교수 제공=영남대
경산=에너지경제신문 손중모기자 영남대학교가 글로벌 학술정보기업 클래리베이트(Clarivate Plc)가 발표한 '2025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Highly Cited Researchers·HCR)' 명단에서 국내 대학 TOP5에 이름을 올렸다.
올해 HCR에는 전 세계 60개국 1,300여 개 기관에서 총 6,868명이 선정됐으며, 국내에서는 76명이 포함됐다.
영남대는 이 중 4명의 교수가 크로스필드(Cross-field) 부문에 선정되며 연구력을 다시 한 번 입증했다.
크로스필드 분야는 특정 학문에 국한되지 않고 여러 분야에 걸쳐 높은 피인용 성과와 학술적 영향력을 보여주는 세계적 연구자를 평가하는 영역으로, 대학 연구경쟁력을 상징하는 지표로 꼽힌다.
올해 영남대에서 HCR에 선정된 교수는 △이용록(화학공학부·명예교수) △최인호(의생명공학과) △수만타 사후(Sumanta Sahoo·화학공학부) △라지 아추단(Raji Atchudan·화학공학부) 등 4명이다.
화학공학부 이용록 명예교수는 서울대에서 석·박사를 취득한 후 유기반응·천연물 합성 연구를 기반으로 나노촉매·나노재료 설계 연구를 선도해 왔다.
특히 바이오매스 기반 친환경 나노촉매, 카본닷 합성 기술 등은 세계적 학술지에서 높은 인용도를 기록하고 있다.
의생명공학과 최인호 교수는 세포배양·천연물 바이오 기반 연구에서 국제적 평가를 받고 있다.
최근 10년간 140여 편의 논문과 다수의 특허·기술이전을 성과로 남겼으며, 의성 세포배양산업단지 조성사업 총괄과 AI 기반 세포배양 기술 개발을 통해 지역 바이오클러스터 형성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다.
화학공학부 수만타 사후 교수는 MXene, 그래핀, 금속산화물 등 나노소재를 활용한 초고속 합성·에너지 저장·전기화학 촉매 연구에서 세계적 영향력을 가진 연구자로 평가받는다.
마이크로웨이브 기반 초고속 합성 기술은 고성능 소재 연구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
화학공학부 라지 아추단 교수는 탄소 기반 나노소재·탄소점(CDs) 연구에 주력해 왔다.
친환경적 합성기술을 기반으로 에너지 저장, 염료 분해, 형광 센서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국제적 연구성과를 축적하며 높은 피인용을 이어가고 있다.
영남대는 최근 연구 인프라 강화, 국제 공동연구 확대, 연구자 지원체계 혁신 등을 추진하며 글로벌 연구기반을 탄탄히 다져 왔다.
그 결과 올해 '라이덴랭킹(Leiden Ranking)'에서도 2년 연속 국내 대학 TOP5에 올랐으며, 2025학년도 신입생 등록률 100% 달성 등 대학 경쟁력 지표 전반에서 긍정적 성과를 나타냈다.
최외출 총장은 “세계적으로 영향력 있는 연구자에 영남대 교수님들이 이름을 올린 것은 오랜 기간 헌신한 연구 노력의 결실"이라며 “앞으로도 혁신적 연구가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적극 지원해 국가와 인류사회의 발전에 이바지하는 글로벌 선도대학으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영남이공대, '창업보육협의회 2025 성과교류 데이'서 3관왕
양지원 팀장·한창우 센터장·박기태 선생 등 지역 창업보육 선도 역량 입증
▲영남이공대학교 창업보육센터 수상자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왼쪽부터 박기태 선생, 한창우 센터장, 양지원 팀장) 제공=영남이공대
대구=에너지경제신문 손중모기자 영남이공대학교가 20일 오후 4시 라테라스 부티크 웨딩에서 열린 '대구경북창업보육협의회 2025 성과교류 네트워킹 데이'에서 주요 기관상을 잇달아 수상하며 3관왕의 성과를 거뒀다.
지역 창업보육 분야에서 대학의 전문성과 기여도가 입증됐다는 평가다.
이번 행사는 대구·경북 37개 창업보육센터가 한자리에 모여 연간 성과를 공유하고 우수 공헌자를 포상하는 지역 대표 창업지원 행사다. 올해 시상에서 영남이공대는 △양지원 창업지원단 팀장(대구광역시장상) △한창우 창업보육센터장(대구·경북지방중소벤처기업청장상) △박기태 선생(동일 부문) 등이 선정되며 단일 기관으로 가장 두드러진 수상 실적을 기록했다.
대구광역시장상을 수상한 양지원 팀장은 창업보육센터 운영 효율화, 입주기업 성장 지원, 대학 기반 스타트업 발굴 등 실무 전반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양 팀장은 지역 창업지원기관과의 네트워크 구축, 학과 연계 창업지원, 입주기업 지원 전문성 강화 등 다방면의 활동을 이끌며 센터 운영의 성과 제고에 크게 기여했다.
이어 대구·경북지방중소벤처기업청장상을 수상한 한창우 센터장은 창업보육센터의 안정적 시스템 구축, 대학생 창업 분위기 조성, 지역 창업생태계 활성화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지난해 대구광역시장상 수상에 이어 2년 연속 주요 기관상을 거머쥐는 성과를 올렸다.
같은 부문에서 청장상을 받은 박기태 선생은 기업 맞춤형 멘토링 체계 구축, 창업교육 프로그램 운영 등 현장 중심 업무에서 성과를 내며 창업보육 전문 인력으로서의 역량을 증명했다.
이번 수상으로 영남이공대는 창업보육 인력의 전문성과 협업 역량을 다시 한 번 대내외에 알리게 됐다.
대학은 창업지원단과 창업보육센터를 중심으로 지역 기반 창업생태계 구축 및 대학생 창업 저변 확대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재용 총장은 “영남이공대 창업보육센터가 지역 창업 생태계를 견인하는 핵심 기관으로 인정받은 뜻깊은 성과"라며 “지역과 세계를 연결하는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에 최선을 다해 지역사회와 산업 발전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영남이공대는 2023~25학년도 3년 연속 신입생 등록률 100%, 국가고객만족도 전문대학부문 13년 연속 전국 1위, 취업률 76.2%(2023 대학정보공시 기준)를 기록하며 입학부터 취업까지 학생 만족도가 높은 직업교육 선도대학으로 평가받고 있다.
◇대구보건대 방사선학과 재학생 4명, 국제 초음파자격 'SPI' 동시 합격
미국·캐나다 등 공인 국제자격…“글로벌 실무역량 입증"
▲미국진단초음파협회(ARDMS)가 시행한 SPI 자격시험에 합격한 대구보건대학교 방사선학과 2학년 이서진 학생과 3학년 서영빈 학생이 지명훈 교수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제공=대구보건대
대구=에너지경제신문 손중모기자 대구보건대학교 방사선학과는 미국진단초음파협회(ARDMS)가 시행하는 국제 공인 자격시험 '초음파 물리(SPI)'에 재학생 4명이 동시에 합격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시험에 합격한 학생은 방사선학과 2학년 이서진, 3학년 서영빈,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4학년) 임수진, 오현정 학생 등 총 4명이다.
SPI(Sonography Principles & Instrumentation)는 미국, 캐나다, 호주 등 주요 선진국에서도 공식 인정하는 국제 자격으로 초음파 전문가로 활동하기 위한 필수 시험이다.
초음파 물리학 이해도와 장비 운용 능력을 검증하는 시험 특성상, 재학생의 합격은 실무 역량을 객관적으로 인정받은 사례로 평가된다.
SPI 자격 취득은 향후 글로벌 의료기관 취업, 해외 임상 현장 진출 등 진로 선택의 폭을 크게 넓히는 기반이 된다.
최근 국내 의료기사 교육기관에서도 해외 공인 자격 취득을 위한 프로그램 강화가 이뤄지는 가운데, 대구보건대의 이번 성과는 관련 분야 경쟁력을 다시 한 번 입증한 것으로 풀이된다.
심재구 방사선학과장은 “재학 중 국제 공인 자격을 취득한 것은 학생들이 이미 글로벌 수준의 실무 능력을 갖추고 있다는 방증"이라며 “국내는 물론 세계 의료현장에서 활약할 수 있는 의료기술 전문 인재 양성을 위해 지속적인 지원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EE칼럼] RE100 안해도 된다](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40318.dbd99c8761244ca3b29e7374368ee5d8_T1.jpg)
![[EE칼럼] 다시 생각해 보는 지속가능발전](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40311.590fec4dfad44888bdce3ed1a0b5760a_T1.jpg)

![[이슈&인사이트] 건설안전을 뒤틀리게 할 건설안전특별법안 재고해야](http://www.ekn.kr/mnt/thum/202511/news-a.v1.20240729.c8f45b397be644c2acafb093d3ca8740_T1.jpg)
![[데스크 칼럼] ‘깐부 동맹’이 열어야 할 구조개혁의 문](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16.d11a19261b0c49eb97aefc4b006b8d2c_T1.jpeg)
![[기자의 눈] 부동산대책, 실수요자 배려해야 효과 본다](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0.710f4e5ba3f5454d85edc37966c891f6_T1.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