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사진. 출처=이미지투데이.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가 올해 및 내년 초 대기업 임원 인사의 특징을 '칠전팔기', '삼별초' 등 키워드로 함축해 19일 발표했다.
70년대생 고위 임원 전진 배치와 80년대생 임원 기용 확대
연구소에 따르면 2026년 인사의 가장 두드러진 흐름은 '칠전팔기'로 요약된다. 1970년대생이 사장·부사장 등 고위 임원으로 대거 전진 배치되고, 1980년대생의 첫 임원 기용이 더욱 확대된다는 의미다.
현재 100대 기업 임원의 약 70%는 1970년대생이다. 이 같은 구조적 흐름 속에서 올해 말·내년 초 인사에서 부사장·사장 등 고위 임원 승진자 명단에 대폭 확대될 가능성이 점쳐진다.
삼성전자만 놓고 보면 올 3분기 기준 1970년대생 사장은 3명으로 파악됐다. 용석우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장(1970년), 최원준 MX사업부 최고운영책임자(COO, 1970년), 마우로 포르치니 최고디자인책임자(CDO, 1975년) 등이다. 부사장 중에서도 1970년대생 비중은 61% 수준이다.
SK그룹은 최근 인사에서 이미 1970년대생 사장이 5명이나 배출했다. LG전자는 아직 70년대생 사장이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올해 첫 배출 여부가 주목된다.
30대 말~40대 초반 '젊은 임원'의 급부상
'삼말사초' 키워드도 있다. 이는 30대 후반~40대 초반 젊은 인재의 임원 발탁이 확대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올해 기준 1982년~1989년생이 여기에 해당된다. 현재 국내 100대 기업에서 해당 연령대 임원은 약 100명 활동 중이다. 내년에는 앞서 젊은 세대 임원층이 한층 두터워질 전망이다.
무엇보다 여러 연구에서 평균적으로 35~40세 사이가 창의성 역량에 있어 절정기로 평가받고 있다. 삼말사초 인재의 경우 조직 기여 기간이 10년 이상도 가능하고 차세대 최고경영자(CEO) 후보군으로 성장할 가능성도 매우 높아 기업의 핵심 전략 자산으로 평가받는다.
30대에 '별' 등극하는 초특급 인재 주목
삼말사초 임원 중에서도 '삼별초'는 더욱 특별한 인재에 속한다. 삼별초는 30대에 임원(별) 반열에 오르는 초특급 인재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올해 기준 30대 임원이 될 수 있는 출생년도는 1986년생까지다. 1986~1989년생이 잠재적 삼별초 후보군에 속한다. 삼성전자, 네이버, SK텔레콤 등에서도 이미 다수의 30대 임원을 꾸준히 배출했다. 이번 인사에서도 30대 임원 발탁 현실 가능성은 매우 높은 편이다. 최근 CJ그룹에서도 30대 임원만 5명이 등장해 세대교체 흐름을 가속화했다
대표적인 삼별초 임원 중에는 노태문 삼성전자 사장이 있다. 1968년생인 노태문 사장은 지난 2007년에 30대 나이에 상무보로 승진하며 임원 대열에 처음 합류했다. 이후 20년 가까운 임원 경력을 쌓으며 현재는 이사회 멤버로도 활동 중이다.
연구·기술 중심 '금쪽 인재' 확보전 치열
'연기금'도 눈길을 끈다. 기업의 미래 먹거리를 창출할 연구개발(R&D)·이공계 기반 우수 인재를 지칭한다. AI, 데이터, 바이오 등 첨단 산업 확대로 인해 국내 기업들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포항공대(POSTECH) 등과 같은 이공계 특성화 대학 출신 인재를 중심으로 '연기금 확보전'을 벌일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기업 중 임원이 가장 많은 삼성전자도 한국과학기술원과 포항공대 석박사 출신만 10%를 훌쩍 넘길 정도다. 내년 인사에서도 R&D 전문가, 핵심 기술 리더, 산업별 최고 기술 인재에 대한 수요가 더욱 커질 것으로 관측된다.
오일선 한국CXO연구소 소장은 “발탁과 승진을 포함해 2026년 대기업 임원 인사 폭은 이전해보다 감소하고 경영 효율성 차원에서 전체적인 임원 자리도 줄어들 수 있다"며 “다양성 강화 차원에서 여성 임원은 더 늘리고 안전과 환경을 포함해 ESG 관련 임원 자리는 예전보다 더 많이 늘어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머니+] 비트코인 시세 폭락, 원인은 따로 있다?…“치솟는 전기료가 결정적”](http://www.ekn.kr/mnt/thum/202511/rcv.YNA.20251118.PYH2025111814300001300_T1.jpg)

![[이슈+] 브로커리지 ‘트리플 점프’, WM·IB도 가세…‘2026 증권업’ 리레이팅 본격화](http://www.ekn.kr/mnt/thum/202511/news-a.v1.20251119.0c25ae4f0c38427ca0960734dd79b54f_T1.jpg)
![[기후 리포트] 이러다 김치 못 먹게 될라](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18.f91ace03811947189cb5e0da55c4f852_T1.jpg)






![[EE칼럼] 기후변화협약의 정치와 과학](http://www.ekn.kr/mnt/thum/202511/news-a.v1.20240528.6d092154a8d54c28b1ca3c6f0f09a5ab_T1.jpg)
![[EE칼럼] 국가 탄소감축 정책, 이상과 현실 사이](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40311.b55759f13cc44d23b6b3d1c766bfa367_T1.jpg)

![[이슈&인사이트] 케데헌 열풍에 찬물 끼얹는 음주운전, 강력 처벌해야](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40312.7d2f1a622c4f4773be91ae901b8be57a_T1.jpg)
![[데스크 칼럼] ‘깐부 동맹’이 열어야 할 구조개혁의 문](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16.d11a19261b0c49eb97aefc4b006b8d2c_T1.jpeg)
![[기자의 눈] “규제 말고 지원”···산업계 호소가 절박한 이유](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18.b53eb0fbb6654840a753cb7636a4206f_T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