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효순

anytoc@ekn.kr

박효순기자 기사모음




한약처방 ‘귀비탕’ 인지기능 개선 ‘청신호’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11.07 05:17

경희대한방병원 권승원 교수팀, 3개국 논문 15편 분석

알츠하이머·뇌졸중·알코올 치매 환자 등에서 점수 향상

첨부1 경희대한방병원 순환신경내과 권승원, 이한결 교수, 김경묵 박사과정생(좌측부터)

▲왼쪽부터 순환신경내과 권승원, 이한결 교수와 김경묵 박사과정생

경희대한방병원(병원장 정희재)은 6일 “순환신경내과 권승원·이한결 교수팀(김경묵 박사과정)이 문헌고찰 연구를 통해 '귀비탕'의 인지기능 개선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귀비탕은 △기억력 저하 △불면 △피로 등에 주로 사용되는 전통 한약처방이다. 연구팀은 귀비탕을 활용한 연구 총 15편의 논문 결과를 발췌해 분석하는 문헌고찰(Scoping Review) 연구를 진행했다. 해당 논문은 2007년부터 2024년까지 3개국(한국·일본·중국)에서 수행된 임상 연구로 알츠하이머병, 경도인지장애, 뇌졸중 후 인지장애, 알코올성 치매 등을 앓고 있는 환자군을 다루고 있다.


분석 결과, 귀비탕을 4주∼9개월 간 투여한 환자군에서 증상 개선 효과가 관찰됐다. 전반적 인지기능 점수 향상, 기억력과 주의력 개선, 일상생활 수행능력 및 정서·행동 증상 호전 등 인지 기능에 유의미한 개선이 나타났으며, 심각한 이상반응은 보고되지 않았다.




논문의 제1저자인 이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인지 저하를 유발하는 다양한 원인 질환에 대한 귀비탕의 임상 효능을 포괄적으로 분석하고, 귀비탕이 단독 또는 병용치료로서 유효하게 사용될 수 있는 치료법임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교신저자인 권 교수는 “인지장애 치료에 대한 귀비탕의 효과를 확인한 최초의 문헌고찰 연구로, 시기와 지역적으로 흩어져 있던 임상연구 결과를 총망라했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크다"면서 “고령화에 따라 인지장애 발생 위험이 높아지는 만큼, 한의치료가 널리 활용될 수 있도록 계속해서 질적 근거를 마련해 갈 것"이라고 전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이 연구는 '인지장애 치료에서 귀비탕 및 변형 처방의 활용과 연구 현황: 스코핑 리뷰' 제목으로 국제학술지(Nutrients)에 게재됐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