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에스더

ess003@ekn.kr

박에스더기자 기사모음




곽문근 원주시의원 “지방대학 소멸은 지역경제에 재앙”…상지대 시립대학 전환 촉구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10.24 08:43

지방대학 위기는 곧 지역경제 위기… 정부 차원의 대책 시급
원주시의회, 상지대 시립 전환 건의안 채택… 정부·지자체 공동 대응 요구

곽문근 원주시의회 부의장

▲곽문근 원주시의회 부의장이 지난 21일 제260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장에서 '상지대학교 시립대학 전환 및 운영혁신을 통한 지역상생발전 촉구 건의안'을 발표하고 있다. 제공=원주시의회

원주=에너지경제신문 박에스더 기자 원주시의회가 학령인구 감소와 재정난 심화로 존립 위기에 놓인 상지대학교의 시립대학 전환을 강력히 촉구했다.


원주시의회는 지난 21일 열린 제260회 임시회에서 곽문근 부의장이 대표 발의한 '상지대학교 시립대학 전환 및 운영혁신을 통한 지역상생발전 촉구 건의안'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


상지대는 1955년 설립 이후 강원권 대표 대학으로 자리매김했으나, 2014년 이후 학생 수가 급격히 줄고 2024년 기준 재정지출이 82억 원에 달하는 등 난파 위기를 겪고 있다. 이는 인구 유출과 지역경제 불황으로 이어져 원주시와 우산동 지역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분석이다.




시의회는 건의문에서 “상지대학교는 1955년 설립 이후 강원권 대표 대학으로 지역 발전과 인재 양성에 기여해왔다"면서 “그러나 학령인구 급감, 수도권 집중, 재정난 등 복합 요인으로 학생 수가 급격히 줄어 존립 위기에 내몰렸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역대학의 위기는 곧 지역 인구 유출과 청년층 이탈, 나아가 지역경제의 침체로 직결된다"며 “이는 단순히 대학의 문제가 아니라 지역 균형발전과 지방교육의 미래와도 직결된 중대한 사안"이라고 강조했다.


시의회는 “상지대학교가 시립대학으로 전환되면 학과 개편, 산학협력 강화, 첨단산업 육성 등 혁신사업이 안정적으로 추진될 수 있다"며 “이는 단순한 명칭 변경이 아닌, 지역과 실질적으로 상생하는 새로운 발전 모델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대학 재정관리의 투명성과 교육 공공성을 확보하고, 원주권 내 대학 간 협력체계를 강화해 지역 전체의 인재 균형 공급과 상생 발전을 이끌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건의안은 정부에 △상지대 시립 전환을 위한 법적·재정적 근거 마련 △재정 건전성과 공공성을 전제로 한 전환 정책 수립 △대학 역사와 건학이념 존중 △지역과의 소통 강화 △시립 전환 이후 산학협력 및 혁신사업 적극 지원 등을 촉구했다.


상지대 관계자는 “재정 자립율이 극감해 자구책 마련도 어려운 상태에서 원주시의회의 시의적절한 건의안 채택이 큰 힘이 된다"고 밝혔다. 지역 주민들 역시 “우산동 경기 침체의 가장 큰 요인은 상지대 학생 수 감소"라며 “이번 건의안이 돌파구가 되길 바란다"는 기대감을 전했다.


원주시의회 의원 일동은 “지방대학 소멸은 곧 지역경제의 위기"라며 “상지대학교가 지역 균형발전의 거점대학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정부와 지자체, 지역사회 모두가 함께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곽문근 부의장은 “시립 전환 과정에서 재정 부담과 대학 간 형평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며 “중앙정부가 실효성 있는 전환 방안을 마련하고 원주시는 첨단 R&D 중심의 지원체계로 상지대를 혁신 거점대학으로 육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원주시의회는 이번 건의안을 국회의장, 지역 국회의원, 교육부 장관, 강원특별자치도지사, 상지대학교 총장에게 전달할 계획이다.


한편 원주시의회는 지난 21일 제1차 본회의를 열고 오는 28일까지 8일간의 질정으로 제260회 임시회를 개최하고 2026년도 주요시책을 보고받는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