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기홍 대한항공 부회장이 한진그룹 창립 80주년 기념 매체 설명회에서 출입 가자들의 질의에 답변하는 모습. 사진=박규빈 기자
23일 한진그룹은 서울 용산구 소월로 322 소재 그랜드 하얏트 서울 그랜드 볼룸에서 창립 80주년을 기념해 출입 기자들을 대상으로 매체 설명회를 개최했다.
다음은 설명회 중 류경표 한진칼 대표이사 부회장·우기홍 대한항공 부회장·조현민 ㈜한진 사장·노삼석 ㈜한진 대표이사 사장과 출입 기자들 간 질의응답 내용.
새로운 CI에 담긴 구체적인 뜻과 향후 다른 계열사로의 추가 CI 개선 작업 계획이 궁금하다.
오늘부터 대한항공을 제외하고 기존 한진 로고를 써왔던 모든 저희 그룹 계열사에 적용된다. 원동레저·KAL 호텔 네트워크도 이미 바뀌었다. 기존의 'H' 마크는 조중훈 창업주가 직접 디자인한 것을 유지하되, 더 현대적인 느낌으로 바꿨다.(조현민 ㈜한진 사장)
2045년 100주년 때의 그룹의 자산 규모나 매출 목표 등 밸류업 측면에서 대략적으로라도 말씀해달라라

▲류경표 한진칼 대표이사 부회장. 사진=박규빈 기자
공약은 아니지만 매출을 더블 업 시켜보겠다. 최근에 대한항공과 ㈜한진은 새로운 분야에 계속 진입을 하고 있고 그에 따른 투자도 하고 있다. ㈜한진은 조현민 사장 주도로 세계 여러 곳에 그간 없었던 지점을 신설하며 매출 신장을 기록하고 있다. 한진칼은 지주사로서 이러한 노력을 하고 있는 계열사들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다. (류경표 한진칼 대표이사 부회장)
최근 외식을 포함해 호텔 사업 부문에서 잇따라 자산을 매각하고 있다. 향후 호텔 사업 관련 별도 확장 계획이나 전략은?
LA 윌셔 그랜드 호텔은 LA 올림픽과 월드컵 수요에 대비해 열심히 준비하고 있다. 서귀포 칼호텔 등은 리노베이션 등 필요한 수준에서 새단장을 할 것이다.(조현민 사장)
항공 우주나 도심 항공 교통(UAM) 쪽을 강조했는데, K-UAM 관련 구체적인 계획이 있다면?
대한항공은 대한민국에서 무인기 분야 사업을 가장 먼저 했고, 그런 만큼 가장 앞서 있다. 지금까지는 우리가 운용 측면에 집중을 해 왔다. 우리는 K-UAM 컨소시엄에서 운항 체계나 소프트웨어를 담당하고 있는데 약간 지연되고 있다. 그렇지만 지금 킨텍스에서 열린 서울 ADEX 2025서 전시를 하고 있다. 당사는 여러 해외 파트너와 소프트웨어·하드웨어를 함께 개발 중이고, 민간 부문에 대해서도 진출이 가능해지도록 추진하고 있다.(우기홍 대표이사 부회장)
부가적으로 말씀드리자면 우주·모빌리티 사업이 가능해지면 국제 택배 처리 시간이 획기적으로 짧아질 수 있지 않을까 싶다.(조현민 사장)
'우주 운송 솔루션'을 말씀하셨는데, 예전에 대한항공 차원에서 우주 관광 쪽에 투자를 하려고 하다가 무산됐던 걸로 안다. 어떻게 속도를 낼 것인가?
우주에 안 쓰는 인공 위성을 포함한 쓰레기가 정말 많다고 한다. 그래서 사실 이제 우주선을 타고 사람을 화성으로 보내기 전에 우주에 대한 그런 이해와 교류가 선행돼야 한다고 본다. 너무 먼 미래보다는 당장 가능성이 있는 분야에 집중해야 한다고 생각한다.(조현민 사장)
㈜한진의 '비전 2025' 성과에 대해 지금 어떻게 평가하시는지, 그리고 향후 중장기 청사진을 새롭게 발표할 계획이 있으신지 궁금하다.
사실 5년 전에 발표를 한 적 있다. 물론 달성하지 못한 부분은 아쉽다. 그러나 ㈜한진 임직원들은 노력을 정말 열심히 해 5년 안에 매출 2조원에서 3조원을 이룩했다. 여기에 조금 더 집중을 해주시면 감사하겠다. 언젠가는 꼭 저희가 목표를 달성할 예정이기 때문에 예쁘고 너그럽게 봐주시길 부탁한다.(조현민 사장)
발표하신 비전 중 부동산에 대한 부분을 조금 더 디테일하게 설명해달라
호텔만이 아니라 명동 한진빌딩이 사실 정석기업이 관리하는 자산이고, 서소문 대한항공 사옥도 그러하다. 업무 공간들이 아무래도 오래됐다 보니 건물에 새 얼굴을 입히는 작업인 리노베이션을 하는 게 부동산 사업 전개를 의미한다. 특히 이제 물류 쪽은 저희가 부동산이 핵심이기 때문에 그와 같은 부분에 관심을 갖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자 한다.(조현민 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