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일 최민호 세종시장이 고려대 세종캠퍼스 교양과목 '인구위기와 지역의 대응' 초청 강연에서 “행정수도 완성이 균형발전과 인구문제 해결의 시작"이라고 강조했다.(제공=세종시)
세종=에너지경제신문 김은지 기자 최민호 세종시장이 고려대 세종캠퍼스에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저출생·지역소멸 위기를 국가적 과제로 규정하고, “행정수도 완성이 균형발전과 인구문제 해결의 시작"이라고 강조했다.
최 시장은 1일 고려대 세종캠퍼스 교양과목 '인구위기와 지역의 대응' 초청 강연에서 저출생·고령화·정치양극화를 '삼각파도'라 표현하며 “이대로라면 경제·사회적 부담은 2030 세대가 고스란히 짊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특히 “저출생 속에 노인 인구가 늘면서 역피라미드 형태의 인구구조가 지속되면 지방소멸이 가속화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탄생한 세종시의 5대 비전을 소개하며, 행정수도 완성을 가장 우선 과제로 꼽았다.
최 시장은 “현 정부 임기 내 대통령 세종집무실과 국회 세종의사당 건립이 시작되면 인재와 기업은 자연스럽게 세종으로 모일 것"이라며 “지방소멸 대응의 첫 단추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정부에 제안한 '중부권 국가 메가싱크탱크' 구상을 설명했다.
이는 세종 국책연구단지와 인근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KAIST와 연계해 인공지능(AI)·양자·바이오 등 미래 산업 인재 클러스터를 구축하는 전략이다. 최 시장은 “수도권 집중 교육기관 이전의 신호탄이자 지역 균형발전의 특단책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시가 추진 중인 국제 한글 프레 비엔날레와 세종한글축제도 언급했다. 최 시장은 “한글과 한글문화 산업을 미래 먹거리로 키워 일자리 창출로 이어지게 하겠다"고 밝혔다.
최 시장은 “오늘 강연은 결국 여러분의 미래에 관한 이야기"라며 “단순히 강의를 듣고 끝내지 말고, 저출생·지역소멸 문제를 곧 나의 삶으로 생각해 깊이 고민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