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할리스가 가을시즌 신메뉴로 최근 출시한 헤이즐넛 초코크림 라떼와 초코 티라미수 롤. 사진=정희순 기자
커피 프랜차이즈 업체 할리스(HOLLYS)가 라이프스타일 브랜드로의 정체성 강화에 공을 들이고 있다. 중저가 커피 브랜드의 약진 속에서 단순히 커피만으로는 승부를 가리기 어렵다는 셈법이 작용한 것으로, 최근에는 브랜드 마스코트 '할리베어'를 활용한 기획 상품(MD) 라인업 확충에 힘을 쏟는 분위기다.
스타벅스 이어 자체 캐릭터 키우는 '할리스'
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할리스가 최근 브랜드 마스코트 '할리베어'를 리뉴얼하고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X(구 트위터)에 할리베어 채널을 오픈하는 등 자체 캐릭터를 활용한 브랜드 마케팅에 나서고 있다.
'할리베어'는 할리스가 지난해 공개한 브랜드 마스코트로, 할리스의 일부 MD 제품에 활용돼 왔다. 최근에는 가을 시즌 한정 신메뉴에 활용됐고, 이날 출시된 키링과 카드지갑 등 MD 제품에도 할리베어가 새겨졌다.
다만 할리스의 '할리베어'가 시장에서 얼마만큼의 반응을 불러일으킬지는 미지수다. 커피 프랜차이즈 업계에서는 카카오프렌즈나 디즈니 등 외부의 인기 캐릭터와 컬래버레이션 굿즈를 선보이는 것이 일반적인 캐릭터 활용법이다. 국내 커피 전문점 시장에서 자체 캐릭터를 꾸준히 키운 경우는 스타벅스의 곰 캐릭터 '베어리스타(BEARISTA)' 정도가 꼽힌다.
할리스 관계자는 “할리베어는 최근 리뉴얼을 통해 커피콩 모양의 귀에 하트모양의 머즐로 더 귀여운 모습을 갖추게 됐다"며 “앞으로 할리베어 IP를 활용한 적극적인 마케팅으로 할리스의 브랜드 가치를 전달하고 고객과의 소통을 강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캐릭터 왜 키우나…브랜드 인지도 강화+매출 상승
할리스가 자체 캐릭터를 키우는 까닭은 '브랜드 인지도 강화'를 위해서이기도 하지만, MD 제품을 통해 가맹점의 매출 상승을 노리겠다는 셈법도 깔려있다. 할리스의 가맹점 수는 해마다 줄고 있지만, 가맹점 평균매출액은 느는 추세다. 저가 커피 프랜차이즈 업체의 공세 속에서 무리한 출점으로 확장 전략을 취하기보다는 '내실 다지기'에 집중하는 전략을 택한 것으로 보인다.
공정거래위원회의 가맹사업정보제공시스템에 따르면, 할리스 가맹점 수는 2022년 453개에서 2023년 439개, 2024년 424개로 줄어들었다. 가맹점 평균 매출액은 2022년 2억7200만원에서 꾸준히 증가해 지난해 기준 3억4400만원을 기록했다.
할리스 운영사인 KG에프앤비는 지난 2020년 11월 할리스를 인수한 후 브랜드 명칭에서 '커피(COFFEE)'를 떼고 '할리스'만 남기는 브랜드아이덴티티(BI) 변경을 단행한 바 있다. 당시 할리스는 굿즈 라인업 확대 등을 추진해 커피 프랜차이즈를 넘어 라이프스타일 브랜드로 진화하겠다는 청사진을 공개했었다.
업계 관계자는 “저가 커피 브랜드와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커피 외에 돌파구 마련이 필요해진 상황"이라며 “MD 라인업 강화는 그 대안 중 하나인데, 할리스가 자체 캐릭터를 키우기로 한 것은 이를 위한 장기적 관점의 접근일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