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민호 세종시장은 1일 시청 여민실에서 열린 '10월 직원 소통의 날' 행사에서 “올해는 유난히 다사다난했지만 결국 해내는 모습을 봤다"며 “대한민국 공무원이기에 가능한 일"이라고 말했다.(제공=세종시)
세종=에너지경제신문 김은지 기자 세종시가 최근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를 계기로 전산시스템 전반을 재점검한다. 최민호 시장은 “최악의 상황까지 가정해 대비하라"며 철저한 대응을 주문했다.
최 시장은 1일 시청 여민실에서 열린 '10월 직원 소통의 날' 행사에서 “올해는 유난히 다사다난했지만 결국 해내는 모습을 봤다"며 “대한민국 공무원이기에 가능한 일"이라고 말했다.
시는 지난 9월 26일 화재 이후 매일 일일상황보고를 통해 장애 현황과 민원 처리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 최 시장은 지난달 29일 조치원읍 행복누림터를 찾아 직접 무인민원발급기와 소비쿠폰 지급 시스템을 점검했다. 그는 “현장 혼란이 크지 않았고, 국가산단 토지 보상 통보도 정상적으로 이뤄지고 있었다"고 전했다.
최 시장은 이번 사건을 계기로 “정보 전산시스템의 구조적 문제를 짚어봐야 한다"며 “앞으로는 최악의 시나리오를 가정해 철저히 대비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추석 연휴와 10월 9일 개막하는 '세종한글축제'를 언급하며 “직원들이 준비한 축제가 시민 행복으로 이어질 것"이라며 참여와 관심을 당부했다. 또 “연휴에도 온전히 쉬지 못하고 시민을 위해 일하는 직원들에게 감사드린다"며 노고를 격려했다.
이날 행사에는 고기동 전 행정안전부 차관이 특강을 맡아 '현실정책'을 주제로 현장 중심의 정책 사례를 소개했다.
세종시의회 행정수도 완성 특위, 국회·집무실 건립 전략 점검
국회세종의사당·대통령 세종집무실·국가상징구역 논의
“세종, 행정·정책 중심지 도약 위한 장기 전략 필요"

▲세종시의회 '행정수도 완성을 위한 특별위원회'가 1일 시의회 청사에서 제5차 회의를 열고 행정수도 완성을 위한 주요 과제와 향후 전략을 논의했다.제공=세종시의회
세종=에너지경제신문 김은지 기자 한편 세종시의회 '행정수도 완성을 위한 특별위원회'(이하 행정수도 완성 특위)는 1일 시의회 청사에서 제5차 회의를 열고 행정수도 완성을 위한 주요 과제와 향후 전략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국회세종의사당 건립 ▲대통령 세종집무실 설치 ▲국가상징구역 조성 등 주요 국가사업의 추진 현황이 보고됐다. 위원들은 단순한 기관 이전을 넘어 세종시가 국정 운영의 핵심 거점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종합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특위 위원들은 집행부 보고를 받은 뒤, 제도적 기반과 정책 수요 확대에 따른 대응 방안을 점검했다. 특히 행정 기능의 공간적 확장이 진행되면서 세종시 차원의 정책 준비와 역할 강화가 필요하다는 점이 강조됐다.
박란희 위원장은 “오늘 회의에서 나온 다양한 의견은 행정수도 완성 정책 추진의 밑거름이 될 것"이라며 “집행부는 실효성 있는 정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적극 검토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어 “행정수도 완성은 중앙행정기관 이전을 넘어 세종시가 국가균형발전의 핵심 거점으로 도약하기 위한 종합 과제"라며 “의회도 집행부와 긴밀히 협력해 전략을 마련하고 점검하겠다"고 밝혔다.
행정수도 완성 특위는 앞으로도 제도 개선, 전략 수립, 관계기관 협력을 이어가며 세종시가 대한민국의 행정적 심장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논의를 계속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