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에너지경제신문 정재우 기자 2025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이 27일 둘째 날 일정을 맞아 탈춤 본연의 매력과 시민 참여가 어우러진 다채로운 무대를 선보였다.
▲▲탈춤 본연의 매력과 시민 참여가 어우러진 다채로운 무대를 선보였다. 제공-안동시
축제장은 전통과 현대, 한국과 세계가 함께하는 문화 교류의 장으로 변모하며 관람객들을 사로잡았다.
이날 안동 탈춤공연장에서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된 하회별신굿탈놀이가 첫 무대를 장식했다.
이어 강령탈춤, 은율탈춤 등 국가무형문화재 전승 공연이 잇따라 열리며 탈춤의 멋과 흥을 그대로 전했다. 관람객들은 전통 예술의 깊이를 체험하며 큰 박수를 보냈다.
터키, 태국, 볼리비아, 이탈리아에서 온 해외 공연단도 축제 무대에 올라 각국의 전통 춤과 음악을 선보였다.
국제적 교류와 화합이 빚어낸 공연은 축제의 범위를 확장시키며 안동 탈춤이 세계 속에서 호흡하고 있음을 보여줬다.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개막식에 불꽃이 피어 오르고 있다. 제공-안동시
탈춤공원 분수광장과 버스킹 무대에서는 지역 청소년, 예술인, 동아리들이 무대에 올라 노래와 춤, 밴드 공연 등 다양한 장르를 선보였다.
관람객들은 무대와 하나 되어 호응하며 '시민이 주인공이 되는 축제'의 의미를 체감했다.
원도심 무대에서는 거리예술과 시민참여 프로그램이 진행돼 도심 전체가 축제 분위기로 물들었다.
▲▲미리 보는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일정표. 제공-안동시
하회마을에서는 다시 한 번 하회별신굿탈놀이가 공연돼 탈춤의 역사와 현재를 동시에 경험할 수 있었다.
저녁에는 하회선유줄불놀이가 이어져 불빛과 전통이 어우러진 장관을 연출했다.
안동시 관계자는 “둘째 날은 탈춤 본연의 가치를 느낄 수 있는 전승 공연과 시민·청소년이 직접 참여하는 무대가 어우러져 축제의 진정한 의미를 보여주는 날"이라며 “많은 시민과 관광객이 함께 즐겨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일문일답] 김정희 단장 “가덕도신공항 2035년 개항 차질 없을 것”](http://www.ekn.kr/mnt/thum/202511/my-p.v1.20251121.d38f96d6b08c467ca7cd9b2c64bc8a21_T1.png)





![[에너지 인사이트] ‘에너지 현실주의’ 급부상…한국의 딜레마](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04.0d4482667f7f44e3a4b10147070e1fde_T1.png)



![[EE칼럼] RE100 안해도 된다](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40318.dbd99c8761244ca3b29e7374368ee5d8_T1.jpg)
![[EE칼럼] 다시 생각해 보는 지속가능발전](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40311.590fec4dfad44888bdce3ed1a0b5760a_T1.jpg)

![[이슈&인사이트] 건설안전을 뒤틀리게 할 건설안전특별법안 재고해야](http://www.ekn.kr/mnt/thum/202511/news-a.v1.20240729.c8f45b397be644c2acafb093d3ca8740_T1.jpg)
![[데스크 칼럼] ‘깐부 동맹’이 열어야 할 구조개혁의 문](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16.d11a19261b0c49eb97aefc4b006b8d2c_T1.jpeg)
![[기자의 눈] 부동산대책, 실수요자 배려해야 효과 본다](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0.710f4e5ba3f5454d85edc37966c891f6_T1.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