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정희순

hsjung@ekn.kr

정희순기자 기사모음




CJ제일제당, 폭염도 견디는 배추 품종 개발…비비고 김치에 쓴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9.23 13:16

CJ제일제당, 저고도·고온적응 배추 ‘그린로즈’ 개발
뿌리 깊고 넓어 폭염·장마 등 기후 스트레스에 강해
특허 출원 진행 중…일부 비비고김치 제품에 사용


충북 괴산 배추

▲충북 괴산군에 위치한 CJ제일제당 '그린로즈' 시범 재배지 전경. 사진제공=CJ제일제당

배추

▲왼쪽은 일반 품종 배추, 오른쪽은 CJ제일제당 '그린로즈' 품종 배추이다. 사진제공=CJ제일제당

폭염과 폭우 등 이상기후로 여름철 고랭지 배추의 수급에 차질이 빚어지는 가운데, CJ제일제당이 폭염에도 잘 자라는 고온적응성 배추 품종 개발에 성공했다.


23일 CJ제일제당은 국내 최초로 여름철 해발 400m 이하 저고도 지역에서도 재배 가능한 신품종 '그린로즈(Green Rose)'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지난 2018년 연구에 착수한 후 7년 만에 거둔 성과다.


CJ제일제당은 지난해 충북 괴산군에 마련한 약 3300㎥(약 1000평) 규모의 시범 재배지(해발고도 약 200m)에서 '그린로즈'의 성능 검증을 마쳤으며, 김치 제품에 적용해 테스트도 진행했다. 현재 '그린로즈'에 대한 특허 출원을 진행 중이며, 올해 재배한 배추로 일부 비비고 김치 제품을 생산할 예정이다.


일반적으로 배추는 15~18도 이하의 서늘한 온도에서 잘 자라기 때문에 여름철에는 600~1100m의 고랭지에서 재배한다. 그러나 갈수록 심화되는 기후 영향으로 최근 강원도 태백 등의 여름 배추 재배지에서도 농사를 아예 포기하거나 양배추 등 다른 작물로 전환하는 비중이 늘면서 생산량이 감소하는 추세다.


수확기에 마치 개화한 장미 봉오리처럼 생겼다고 해서 이름 붙여진 '그린로즈'는 25도 이상의 고온에서도 안정적으로 결구(잎이 여러 겹으로 겹쳐서 둥글게 뭉쳐지는 것)가 이루어져 저고도 지역에서도 재배가 가능하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뿌리가 깊고 넓게 퍼져 폭염과 장마는 물론이고 일시적 가뭄 등 기후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이 강하기 때문이다. 특히 기존 품종 못지않은 우수한 품질로 김치 제조에도 적합하다.




CJ제일제당의 이번 '그린로즈' 개발로 배추 재배가 가능한 지역이 늘어나 여름철 안정적인 배추 수급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 옥수수나 감자 등 기존 여름철 재배 작물 대비 농가 수익성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임정현 CJ제일제당 글로벌S&T)Agriculture 플랫폼 팀장은 “갈수록 심화되는 지구온난화로 배추가 아예 사라질 수도 있다는 위기감에 CJ제일제당의 차별화 기술력으로 '그린로즈'를 개발하게 됐다"며 “'그린로즈'의 재배 면적과 생산량을 점차 확대, 여름철 배추 수요를 단계적으로 대체해 나감으로써 안정적인 제품 생산은 물론이고 농가 소득 증대에도 힘을 보탤 것"이라고 전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