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지난 3일 근로감독권 실행 전략 점검회의에 참석, 발언을 하고있다 제공=경기도
경기=에너지경제신문 송인호 기자 경기도가 4일 정부가 추진 중인 근로감독권 지방위임 정책과 관련해 선도적 역할을 맡는다고 밝혔다.
앞서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지난3일 근로감독권 실행 전략 점검회의에서 “경기도가 테스트베드가 되어야 한다"며 강한 의지를 피력했다.
이번 정책은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과제인 '산업재해 국가책임 실현'의 일환으로 고용노동부가 근로감독권을 지방정부에 위임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김 지사는 이에대해 “산재 예방 경험과 노하우를 갖춘 경기도가 대표모델이 되어야 한다"며 “제도 착근까지 시간이 걸릴 수 있는 만큼, 경기도가 선도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동안전지킴이 제도, 개선율 85.2%
도는 이미 '노동안전지킴이' 제도를 통해 산업현장 안전 모니터링을 수행해왔으며 지난 7월 기준 개선율은 85.2%에 달한다.
이는 도가 근로감독권을 실질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고 있음을 보여준다.
김 지사는 “산업재해로부터 노동자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겠다는 의지는 뜨겁게, 인력과 예산 준비는 냉정하고 철저하게 해야 한다"며 “'뜨거운 아이스커피'처럼 접근하자"고 말했다.
이에 따라 도는 행정2부지사를 단장으로 하는 '근로감독권 위임 대응 합동 TF'를 구성하고 제도 시행을 위한 조직적 준비에 착수했다.
김 지사, 노동자·기업 동반 성장 강조

▲근로감독권 실행 전략 점검회의 모습 제공=경기도
김 지사는 “경기도가 테스트베드가 돼 노동자의 안전을 책임지는 동시에 기업은 위험요인을 줄여 장기적으로 노동과 기업이 함께 성장하는 전환점을 만들어 나가자"고 했다.
김 지사는 그러면서 “도는 모두가 웃으며 일터에서 집으로 돌아올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여정의 맨 앞에 서겠다"고 덧붙였다.
앞서 김 지사는 지난 14일 의왕시 건설공사 현장을 방문해 “일터에서 돌아오지 못하는 노동자 없게 하겠다"는 각오를 밝힌 바 있다.
도는 이번 정책을 통해 산업현장의 안전을 강화하고 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도모하는 모델로 자리매김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