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일 오후 도담소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조셉 윤(Joseph Yun) 주한 미국 대사대리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제공=경기도
경기=에너지경제신문 송인호 기자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4일 도담소에서 조셉 윤(Joseph Yun) 주한 미국대사대리와 오찬을 갖고 최근 한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더욱 공고해진 양국 협력의 중요성을 재확인하며 경기도-미국 간 관계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김 지사는 이날 논의에서 “한미관계가 중요한 전환점을 맞은 시기에 윤 대사대리가 경기도를 방문한 것에 감사를 표"하면서 “앞으로 한미동맹과 양국 공동 번영을 위해 대사대리의 역할이 더욱 커질 것이라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번 만남에서 양측은 최근 열린 한미정상회담의 의미를 평가하며 경제 협력 확대와 안보 강화를 동시에 이룬 성과에 공감했다.
김 지사는 이어 “정부는 물론 국회, 지방정부, 기업 모두가 공공외교에 동참해 한미동맹을 '혁신동맹'으로 업그레이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또한 “경기북부가 한반도 평화 전진기지로서 접경지역 긴장 완화와 지역 개발에 기여할 수 있다는 데 의견을 같이한다"고 말했다.
도는 혁신동맹 실현을 위한 대응 방향도 공유했으며 지난 4월 관세 대응을 위해 미시간주를 방문해 공공외교 신뢰를 구축한 데 이어 조선업 르네상스에 대비해 경기도의 첨단․제조업 분야 강점을 살릴 방침이다.

▲4일 오후 도담소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조셉 윤(Joseph Yun) 주한 미국 대사대리에게 도담소를 소개하고 있다 제공=경기도
김 지사와 조셉 윤 대사대리의 공식 만남은 이번이 두 번째로 두 사람은 지난 2월에도 만나 경기도와 미국 간 긴밀한 협력의 필요성을 공유하며 신뢰를 쌓았다.
당시 김 지사는 조셉 윤 대사대리를 경기도에 초청하며 수원갈비를 대접하겠다고 약속했는데 이날 약속대로 수원 갈비구이와 수원 약과 등 수원 대표 향토 음식과 함께 다양한 재료를 꼬치에 꿴 궁중음식 화양적을 상에 올려 한미 양국 화합의 의미를 더했다.
윤 대사대리는 수원 갈비에 대해 관심을 보이며 왜 유명한지 등에 대해 질문했고, 김 지사가 조선 정조시대 화성 축조 당시 수원에 우시장이 발달하게 된 사연 등을 설명하며 대화를 이어갔다.
김 지사는 또 “옛 경기도지사 공관으로 쓰이던 것을 도민에게 개방하면서 도민 공모를 통해 '도민을 담은 공간'이란 뜻을 담은 '도담소'로 이름을 지었다"고 설명하며 면담 장소인 도담소 역사에 대해 설명하기도 했다.
조셉 윤 대사대리는 1985년 미 국무부 입부 후 주한 미국대사관 근무, 2016년 대북정책특별대표 및 6자회담 수석대표를 역임한 아시아·대북정책 전문가다.
도는 이번 만남이 트럼프 행정부 2기와 이재명 대통령 취임으로 새롭게 열리는 한미 협력의 장에서, 경기도-미국-주한미국대사관 간 '발전적 혁신동맹'을 이어가는 뜻깊은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 지사, “다회용기 사용, 도민 삶 속 실천으로 체화시킬 것"

▲4일 오후 수원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경기도-프로스포츠구단 '다회용기 사용 협약식'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인사말을 하고 있다 제공=경기도
앞서 김 지사는 이날 수원종합운동장에서 도내 프로축구·야구·농구·배구 구단 총 18개 팀과 '다회용기 사용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수원월드컵경기장과 수원KT위즈파크 등 일부 경기장에서 시범 운영 중이던 다회용기 사용이 도내 전역의 프로스포츠 경기장으로 확대된다.
김 지사는 협약식에서 “경기도청은 이미 2년 반 전부터 일회용품 없는 청사로 운영되고 있다"며 “이제는 불특정다수가 모이는 스포츠 경기장에서 다회용기를 사용하는 시대를 열었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이어 “기후변화 대응의 성패는 정책이 아닌, 도민의 삶 속에 얼마나 체화되느냐에 달려 있다"며 “오늘이 그 첫걸음"이라고 강조했다.
◇연간 폐기물 연간 1만톤...다회용기 도입으로 66톤 감축 기대

▲4일 오후 수원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경기도-프로스포츠구단 '다회용기 사용 협약식'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협약서 서명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제공=경기도
도는 K-스포츠의 중심지로 도내 프로구단만 축구 7개, 야구 1개, 농구 5개, 배구 2개 등 총 18개에 달한다.
이들 경기장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은 연간 1만톤을 넘는 것으로 추산되며 특히 경기 관람과 함께 즐기는 치킨, 피자, 커피 등 식음료 소비가 늘면서 일회용기 사용량도 급증하고 있다.
이번 협약을 통해 도와 구단은 경기장 내 식음료점 및 푸드트럭에 다회용기를 공급하고 관람객이 사용 후 반납하면 대여업체가 수거·세척 후 재공급하는 순환 체계를 구축한다.
수원월드컵경기장의 경우 다회용기 반납률이 98%에 달하며 경기당 평균 5200개 사용으로 폐기물 1036kg을 줄였다.
도는 이번 협약을 통해 연간 약 120만개의 다회용기 사용으로 폐기물 66톤 감축을 기대하고 있다.
◇김 지사, “프로구단이 시작, 도민 삶 속 실천으로 확산될 것"

▲4일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협약서 서명 후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제롱=경기도
김 지사 “프로구단이 시작, 도민 삶 속 실천으로 확산될 것"이날 협약식에는 수원FC 최순호 단장, 수원삼성블루윙즈 박경훈 단장, 용인삼성생명 임근배 단장 등 왕년의 스타플레이어들이 구단 대표로 참석해 눈길을 끌었다.
탁구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유승민 대한체육회장도 특별 내빈으로 자리했다.
김 지사는 이 자리에서 “이번 협약은 프로구단이 시작했지만 앞으로는 더 많은 도민의 삶 속으로 확산되길 바란다"며 “경기도가 기후위기 대응의 모범 사례가 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도는 향후 다회용기 사용 문화가 스포츠 경기장을 넘어 일상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적 지원과 홍보를 강화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