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성준

mediapark@ekn.kr

박성준기자 기사모음




김정은 9월 ‘中 열병식’ 참석…시진핑·푸틴 동시에 만난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8.28 15:28
김정은, 러 파병 “30~40대 자폭 군관 강한 충격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당 중앙위원회 본부청사에서 열린 해외작전부대 국가표창수여식 연설에서 “30~40대 군관들이 적화점을 몸으로 막고 자폭의 길을 택한 사실은 강한 충격을 주었다"고 말했다고 조선중앙TV가 22일 보도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오는 9월 3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리는 중국 항일전쟁 승전 80주년 기념 열병식에 참석할 예정이다. 이번 행사에는 세계 주요 국가 지도자들이 대거 참석할 예정인 가운데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도 참석자 명단에 포함되면서 북중러 정상들이 사상 처음으로 한 자리에 모일 전망이다.


28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북한은 김 위원장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초청으로 방중해 항일전쟁 및 2차 세계대전 승전 80주년(전승절 80주년) 기념행사에 참석할 예정이라고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밝혔다. 중국 신화통신도 김 위원장의 방중 소식에 대해 보도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훙레이 중국 외교부 부장조리(차관보)는 이날 브리핑에서 “중국과 북한은 산으로 연결된 이웃"이라며 “중국은 북한과 함께 교류·협력을 계속 강화하고 사회주의 발전을 이어갈 준비가 되어 있다"고 밝혔다. 이어 “김 위원장의 참석을 열렬히 환영한다"며 참석자 명단을 발표했다.


신화통신에 따르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비롯해 베트남,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파키스탄, 벨라루스, 이란, 세르비아, 슬로바키아 등 총 26개국의 정상들이 이번 행사에 참석하기로 했다.


미국, 영국, 프랑스 등지에서는 대통령 등 정상급은 아니지만 고위급 정부 관계자가 참석자 명단에 포함됐다. 한국에서는 우원식 국회의장이 이름을 올렸다.




김 위원장의 중국 방문은 지난 2019년 1월 이후 6년 반 만이다. 그는 2018년에만 세 차례 중국을 찾았으며 시 주석은 2019년 6월 평양을 방문한 바 있다.


이후 코로나19가 발생하면서 북한과 중국의 교류는 사실상 중단됐다. 이런 와중에 북한은 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전투병 파병과 북러 조약 체결 등 러시아와 관계를 가속화했다. 이에 중국도 최근 들어 북한과 교류에 시동을 걸었고 결국 김 위원장의 방중이 6년만에 성사됐다.


김 위원장은 이번 방중을 계기로 다자 무대에 처음으로 참석하게 된다. 북중러 정상이 처음으로 한자리에 모이는 것이기도 하다.


브루킹스 연구소의 파트리시아 김 연구원은 “김 위원장의 방문은 여러 가지 목적을 가진다. 2019년 이후 만나지 못한 시 주석과 관계를 다시 강화시킬 수 있다"며 “이와 동시에 미국의 핵심 경쟁국인 러시아와 중국으로부터 지지를 얻고 있음을 과시하는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의 방중 결정이 발표된 시점도 주목을 받는다.


이재명 대통령은 최근 이시바 시게루 총리, 트럼프 대통령과 각각 정상회담을 갖고 핵 문제를 포함한 북한 문제 대응을 위한 한미일 협력을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한미정상회담에서 “김정은과 나는 매우 좋은 관계를 가졌고, 여전히 그렇다", “김정은과 잘 지내는 것은 좋은 일"이라며 김 위원장과 만나고 싶다는 뜻을 피력하기도 했다.


이에 맞서 중국은 이 대통령이 미국 방문 일정을 마치자마자 승전 80주년 열병식에 북러 정상의 참석을 공개함으로써 한미일 협력의 강화 흐름에 북중러 협력으로 맞불을 놓는 모양새가 됐다.


한편, 최근 중국과 협력 강화를 모색 중인 인도에서는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뿐만 아니라 고위급 정부 관계자도 참석자 명단에 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모디 총리는 전승절 직전인 8월 31일∼다음 달 1일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에 맞춰 중국 톈진을 방문할 예정이다. 그의 중국 방문은 2018년 6월 SCO 정상회의 참석차 칭다오를 찾은 이후 7년 만이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