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6월 3.93%에서 7월 3.96%로 0.03%포인트 상승했다. 가계대출 금리 하락에도 주담대 금리는 올해 6월(3.93%) 이후 2개월 연속 올랐다.
은행권의 저축성수신금리가 작년 10월 이후 10개월 연속 하락한 반면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두 달 연속 상승했다. 일부 은행권이 5~6월 중 주택담보대출 우대금리를 축소하거나, 가산금리를 소폭 올린 것이 시차를 두고 실제 금리에 반영됐다.
다만 6·27 대책 이후 은행권이 가산금리를 올린 부분은 아직 주담대, 전세자금대출 금리에 반영되지 않았기 때문에 향후 주담대 금리가 추가로 오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달 들어 은행채 5년물 금리가 전월 대비 하락했지만, 6·27 대책 전후로 가산금리 인상분이 시차를 두고 반영되는 점을 고려하면, 주담대 금리 추이는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다.
대출금리 8개월 연속 하락...주담대 금리 2개월째↑
2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7월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 통계에 따르면 7월 중 예금은행의 신규취급액 기준 저축성수신(예금)금리는 연 2.51%로 집계됐다. 전월(2.55%) 대비 0.04%포인트(p) 하락한 수치다. 저축성수신금리는 작년 10월(3.37%) 이후 10개월 연속 내렸다.
7월 중 신규취급액 기준 대출금리는 4.06%로 전월 대비 0.03%포인트 하락했다. 작년 12월(4.64%) 이후 8개월 연속 내림세다.
대출금리 가운데 기업대출 금리는 단기 시장금리(CD 91일, 은행채 단기물 등)가 하락한 영향으로 6월 4.06%에서 7월 4.04%로 0.02%포인트 내렸다. 기업대출 금리는 올해 6월(4.06%) 이후 2개월 연속 하락했다.
가계대출 금리는 7월 4.20%로 전월(4.21%) 대비 0.01%포인트 하락하며 작년 12월(4.72%) 이후 8개월 연속 내림세였다.
이 중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6월 3.93%에서 7월 3.96%로 0.03%포인트 상승했다. 가계대출 금리 하락에도 주담대 금리는 올해 6월(3.93%) 이후 2개월 연속 올랐다. 전세자금대출 금리도 6월 3.71%에서 7월 3.75%로 0.04%포인트 올랐다. 전세자금대출 금리 역시 올해 6월(3.71%) 이후 2개월째 오름세다.

▲예금은행 가중평균금리.(자료=한국은행)
다만 은행권이 6·27 대책 이후 가산금리를 올린 부분은 7월 주담대, 전세자금대출 금리에 본격적으로 반영되지 않았다. 김민수 한국은행 금융통계팀장은 “6·27 대책 이후 일부 은행이 가산금리를 소폭 인상했지만, 실제 주담대·전세자금대출 금리에 반영되기까지는 1~3개월 정도 소요된다"며 “6·27 대책에 따른 금리 영향은 아직 크지 않다"고 설명했다.
김 팀장은 향후 주담대 금리 전망에 대해 “8월 1일부터 26일까지 은행채 5년물 평균 금리가 7월 평균 대비 0.04%포인트 하락하면서 주담대 금리 하락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그러나 6·27 대책 전후로 가산금리 인상 등이 대출 실행까지 시차를 두고 영향을 주기 때문에 (실제 주담대 금리는)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는 시장금리 하락에도 주담대 금리가 오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취지로 해석된다.
6·27 대책에 고신용자 신용대출 비중 축소
일반신용대출 금리는 6월 5.03%에서 7월 5.34%로 0.31%포인트 상승했다. 일반신용대출 금리는 작년 12월(6.15%) 이후 8개월 만에 상승 전환했다. 신용대출 금리가 오른 것은 6·27 대책으로 신용대출 한도가 연소득 한도로 제한돼 기존 연소득을 초과해 상대적으로 낮은 금리로 대출을 받을 수 있었던 고신용 차주들의 신규 대출 비중이 줄었기 때문이다.
김 팀장은 “7월 신용대출 금리 상승은 실제 차주들이 부담하는 금리가 오른 게 아니다"고 말했다. 그는 “신용대출 금리는 고신용자, 중저신용자의 대출금리 수준을 각각 대출금액 비중으로 가중 평균해서 산출한다"며 “6·27 대책으로 상대적으로 금리 수준이 낮은 고신용 차주의 신규 대출 비중이 줄었기 때문에 고신용자·중저신용자 차주의 대출금리 수준에 변화가 없어도 가중 평균값인 신용대출 금리가 오르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이 가운데 금융감독원은 금융상품 비교공시 서비스인 '금융상품 한눈에'에서 주담대, 전세자금대출 상품에 우대금리 조건 정보를 제공하도록 공시를 강화한다. 현재는 예적금, 개인사업자 대출의 경우 우대금리 조건이나 한도 등을 비교할 수 있지만, 주담대·전세자금대출의 우대금리는 소비자가 직접 은행 홈페이지 등을 통해 확인해야 한다. 그러나 앞으로는 소비자들이 주담대·전세자금대출의 우대금리 조건과 한도 등을 비교할 수 있어 편의성이 증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 과정에서 은행 간에 출혈경쟁이 심화될 경우 중장기적으로 금융 안정성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명시적으로 우대금리 조건까지 비교하게 되면 은행별로 상품 설계에 대한 자율성이 떨어진다"며 “출혈 경쟁으로 이어지면 장기적 관점에서 은행 수익성이 악화되고, 금융 안정성도 저해될 수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