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닥터스나눔단, '2025 UN 세계청년의 날' 한의 의료봉사 성과 발표
2010년 창설 108회 의료봉사…의료진 등 3746명 참여, 1만 8613명 수혜

▲사단법인 약침학회 굿닥터스나눔단 김소현 팀장이 '2025 UN 세계 청년의 날' 국제 컨퍼런스에서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굿닥터스나눔단
한의사·치과의사·간호사 등 전문 의료진으로 구성된 의료봉사단체 '굿닥터스나눔단'이 'UN 세계 청년의 날'을 맞아 열린 국제 컨퍼런스에서 글로벌 보건 형평성 증진을 위해 청년의 역할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외교부 소관 사단법인 에스디지유스(SDG YOUTH·이사장 김주용)는 지난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지속 가능한 미래, 청년이 선도하다' 주제로 '2025 UN 세계 청년의 날' 국제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이용선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공동주최했다.
올해 행사는 △지속 가능한 세상을 위한 청년의 도전 △지속 가능발전목표(SDGs)의 현주소와 국제사회의 노력 등 두 세션으로 진행됐다. 이날 컨퍼런스에는 현장 참석자뿐 아니라 케냐·나이지리아·스리랑카 등 개발도상국 관계자들이 온라인으로 참여하며 국제적 공감대를 확산시켰다.
이날 1부 세션에서 사단법인 약침학회 굿닥터스나눔단 김소현 팀장은 '보건의료 사각지대 없는 세상을 위한 청년 활동' 발표를 통해 이목을 집중시켰다.
김 팀장은 “전 세계 인구 절반 이상이 여전히 기본적인 의료서비스조차 받지 못하고 있다"면서 “보건 불평등을 해결하기 위해 청년이 단순 참여자가 아니라 새로운 대안을 설계하는 주체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팀장은 농촌 지역에서 병원 접근이 어려워 치료를 포기한 환자 사례를 소개하며 “의료 인프라 부족은 단순한 진료 공백을 넘어 사회적 배제와 빈곤 악순환으로 이어진다"고 지적했다. 그는 청년 세대가 기획자·실행자·연결자로서 보건 현장에서 주도적 역할을 강화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굿닥터스나눔단은 2010년 창립 이후 지금까지 108회 의료봉사를 진행했으며, 한의사·치과의사·간호사 등 전문 의료진 903명과 자원봉사자 2843명을 포함해 총 3746명이 참여했다. 누적 수혜자는 약 1만 8613명에 달한다.
굿닥터스나눔단의 활동은 단순 진료를 넘어 △건강 상담(혈압 측정 및 생활습관 관리 지도, 맞춤형 식이·생활 관리 안내) △예방 교육(위생관리, 만성질환 관리법 안내) △정서 지원을 결합한 통합형 한의 의료봉사 모델로 발전해왔다. 현장에서는 손마사지·네일아트·심리 상담 등 생활밀착형 프로그램을 도입해 주민들의 신체적·정신적 회복을 동시에 지원했다.
특히 국내외 약침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 타 한의 의료봉사단체에 약침 지원을 연계하는 등 봉사 현장의 경험을 약침 제도적 확산과 정책·학술적 논의로 확장하며 한의약의 국제적 위상 제고와 제도화 기반 마련에 기여하고 있다. 마이크로니들 연구·개발·생산기업 테라젝아시아와 협력해 개발도상국 보건의료 현장에 적용 가능한 마이크로니들 연구도 진행 중이다.
이번 행사에서는 대한한의약해외의료봉사단(콤스타·KOMSTA)의 활동도 소개됐다. KOMSTA(콤스타)는 1993년 창설 이후 29개국에 2700여 명의 봉사단을 파견해 진료소 설립과 교육 협력을 이어왔다. 약침학회와 콤스타 두 단체는 '모든 사람의 건강 보장'이라는 가치를 공유하며, 청년과 한의약을 결합해 글로벌 보건의료 지원을 확장하고 있다.
김소현 팀장은 발표를 마무리하며 “청년의 창의성과 디지털 역량을 결합해 지속 가능한 보건의료 모델을 만들어가야 한다"면서 “굿닥터스나눔단은 앞으로도 에스디지유스, 국제 NGO, 학술·의료기관 및 기업들과 협력해 청년세대의 참여를 확대하고 한의약 세계화를 선도해 나가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