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여헌우

yes@ekn.kr

여헌우기자 기사모음




곽노정 사장 “세계최초 HBM 개발은 SK·하이닉스 만남의 성과”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8.18 16:12

SK그룹 이천포럼 개회사서 ‘파괴적 혁신’ 사례 소개

“과감한 투자로 HBM신화 가능…AI시대 시작 단계”

곽노정 SK하이닉스 사장

▲곽노정 SK하이닉스 사장이 18일 서울 광진구 워커힐 호텔에서 열린 '이천포럼 2025'에서 개막 연설을 진행하고 있다.

곽노정 SK하이닉스 사장이 임직원들에게 “문 닫을 위기를 겪어내면서도 고대역폭메모리(HBM)를 만든 SK하이닉스는 결국 어려움을 헤쳐 나가고 문제를 풀어나갈 수 있다"는 메시지를 남겼다.


곽 사장은 18일 서울 광진구 워커힐호텔에서 열린 '이천포럼 2025' 개회사에서 “인공지능(AI) 시대 변화는 이제 시작이며 엄청난 크기의 변화에 두려움을 느낀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천포럼은 SK그룹의 대표 변화추진 플랫폼이다. 최태원 SK그룹 회장 등 그룹 주요 경영진 및 구성원들은 오는 20일까지 AI 혁신, 디지털전환(DT)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곽 사장은 지난 2016년 최 회장이 “근본적인 변화가 없으면 갑작스러운 죽음(Sudden Death)을 맞을 수 있다"고 경고했던 발언을 언급하며 “지난 몇 년은 이 말씀이 얼마나 중요했는지를 입증하는 시간이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최근 변화의 중심에는 AI가 불러온 혁신이 있다. AI가 불러온 변화는 점진적 혁신을 넘어 기존 산업의 틀을 근본적으로 바꾸는 파괴적 혁신"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오늘날 AI 시대에 주목받는 기업이 바로 SK하이닉스"라며 “20여년 전 존폐 위기까지 몰렸던 하이닉스가 SK를 만나 완전히 새롭게 바뀌었다"고 덧붙였다.


곽 사장은 형광등을 하나씩 빼며 전기를 아껴 경비를 줄이고, 임직원들은 무급휴가를 쓰고 급여를 반납해야 했던 과거를 회상하기도 했다.


그는 “세계 최초 HBM 개발은 SK와 손잡은 이듬해 이뤄낸 성과였다"며 “그 과정은 결코 순탄치 않았지만 포기하지 않았고, SK가 단기 성과에 매몰되지 않고 과감히 미래 투자를 지속했기에 오늘의 HBM 신화가 가능했다"고 설명했다.


곽 사장은 사자성어 '지불시도(智不是道)'를 언급하며 “아는 것이 다 길이 되는 건 아니다"라며 “아는 것을 깊이 몸속으로 받아들이고 어떠한 어려움 속에서도 한 걸음 한 걸음 앞으로 나아가려는 자세와 노력이 길을 만드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