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로고.
부산=에너지경제신문 조탁만 기자 지난 15일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가 특별사면·복권되면서 내년 '지방선거판'의 셈법이 복잡하다.
18일 지역정가의 말을 종합하면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가 내년 6월 3일 실시된다. 지방선거의 꽃이 '시장 선거'인 만큼 여야 모두 시장 후보군에 주목하고 있다.
우선, 야권에선 박형준 부산시장이 3선 도전에 나선다. 대중적 인지도가 높은데다 현역 프리미엄까지 안고 있어 '여야' 통틀어 가장 강력한 후보로 꼽힌다. 당내 후보군으로 서병수 북구갑 당협위원장도 거론된다.
여권에선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이 부상했다. 부산에선 민주당 소속으로 유일하게 3선에 수성한 국회의원인데, 장관직을 맡으며 정치적 중량감이 더 커졌다.
연내 해수부 부산 이전의 사령탑을 맡은 만큼, 그 성과에 따라 영향이 미칠 내년 지선에 그의 행보에 크게 주목하고 있다. 이와 함께 최인호·박재호 전 의원 등 당내 후보군들도 거론된다.
이 가운데 지역 정가는 입시 비리 등 혐의로 실형을 받았다가 사면·복권으로 정치판에 다시 등장한 조 전 대표의 행보에 주목한다.
야권에선 전국적으로 인지도 높은 조 전 대표의 출마를 내심 기대하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이렇든 저렇든 간에 그의 출마 자체만으로도 여권 내 표심이 나뉠 수 있다는 분석에 무게가 실리기 때문이다.
시나리오는 크게 두가지로 나뉜다. 민주당, 조국혁신당, 국민의힘 간 3자 대결 구도로 잡히면 범여권인 민주당과 조국혁신당 간 표심은 나뉠 수 밖에 없다.
범여권(민주당·조국혁신당)과 야권(국민의힘) 간 1대 1 구도도 비슷하다. 민주당과 조국혁신당 간 단일화 과정서 범여권 '대표 선수'로 민주당 후보가 나설 지도 불투명하다. 불과 1년 전 총선의 부산 연제구 후보를 두고 진행한 범여권 단일화 과정서 민주당 후보가 진보당 후보에게 패한 사례도 있다.
반면, 선거를 거듭해 오며 민주당의 부산 득표율이 40% 안팎에서 오르락내리락 하면서 범여권 단일화 과정 자체로 시너지 효과를 내어 지지세를 확 끌어올릴 수 있다는 일부 시각도 존재한다.
조 전 대표는 아직 출마 관련, 공식 입장을 내지 않았다. 다만, 잠재적 대권 후보인 조 전 대표는 추후 대권 주자로 한 걸음 더 나아가기 위해선 내년 지선에서 존재감을 발휘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