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나광호

spero1225@ekn.kr

나광호기자 기사모음




동양생명, 우리금융 편입 후 첫 성적표 공개…킥스 비율 175%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8.11 14:01

전분기비 47.8%p 급등
후순위채 발행 등 영향

상반기 당기순이익 868억원
전년비 47.1% 하락

동양생명

▲동양생명.

동양생명이 신지급여력제도(K-ICS·킥스) 비율을 대폭 끌어올렸다. 우리금융지주 편입 이후 첫번째 성적표에서 고무적인 수치가 나타난 셈이다. 다만, 동양생명 실적이 우리금융 연결 실적에 반영되는 것은 3분기부터다.


11일 동양생명에 따르면 6월말 기준 킥스 비율은 175%로 전분기 대비 47.8%포인트(p) 급등했다. 이는 전년 동기와 비교해도 8.8%p 높은 것으로, 5억달러 규모의 외화 후순위채 발행 등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인 결과다. 시장위험액을 비롯한 지급여력기준금액이 줄어든 것도 킥스 비율 개선에 일조했다.


금융당국의 권고치를 상회하는 수준으로 돌아온 셈이다. '유상증자의 필요성이 크지 않다'는 우리금융의 판단도 유지될 전망이다.


동양생명은 올 하반기 3억달러 규모의 해외신종자본증권을 상환할 예정이지만, 킥스 비율을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중기 목표는 160% 이상이다.


전속설계사(1589명) 규모가 꾸준히 불어나는 가운데 보험계약 유지율도 우상향 그래프를 그렸다. 2023년 상반기 78.8%였던 13회차 유지율은 지난해 상반기 88.7%, 올 상반기 90.5%로 개선됐다. 25회차도 56.2%에서 각각 62.2%, 77.0%로 높아졌다.




동양생명은 △그룹 계열사 네트워크를 활용한 공동 마케팅 △고객 데이터베이스 공급 확대 △우리금융 브랜드 이미지 활용 등 시너지 창출로 영업경쟁력을 높인다는 전략이다.


여기에는 카드·증권을 비롯한 타 금융상품 크로스 셀링, 우리금융 권역별 전문인력을 통한 VIP 고객 대상 비즈니스 역량 강화가 포함된다.


최근 종신보장과 건강보장을 동시에 제공하는 상품 '(무)우리WON하는건강한보장보험'을 선보이고, '(무)수호천사꿈나무우리아이보험'을 개정 출시한 데 이어 새로운 상품 공급을 통해 신규시장에 진입하고 시장점유율도 확보한다는 목표다.


또한 장기채 중심의 자산 리밸런싱 투자를 단행하고 대체자산과 주식을 비롯한 위험자산은 줄인다는 계획이다. 만기구조를 고려한 운용전략을 실행하고, 기투자자산의 사후관리도 강화한다.


동양생명

▲동양생명의 킥스 비율이 170%를 돌파했다.

그러나 올 상반기 당기순이익이 868억원으로 47.1% 축소되는 등 업황 부진 속 수익성 우려는 과제다. 영업이익(1014억원) 역시 51.6% 급감했다.


보험손익은 70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8.5% 하락했다. 보장성 수입보험료(1조6018억원)가 14.8% 증가했지만, 전체 수입보험료(1조8528억원)는 13.3% 줄었다. 금리연동형 보험료가 대폭 축소됐기 때문이다.


채널별로 보면 법인보험대리점(GA)의 성과가 향상(+13.6%)됐지만, 방카슈랑스의 고전(-56.9%)이 전체 수치 하락으로 이어졌다.


연납화보험료(APE)는 3401억원으로 21.9% 감소했다. 신계약 보험계약마진(CSM·3029억원)과 CSM 잔액(2조7442억원)도 각각 11.8%·0.4% 하락했다.


투자손익(310억원)이 57.3% 낮아진 것도 발목을 잡았다. 퇴직금융손익이 개선됐지만, 비이자손익 하락에 따른 일반계정 투자손익 감소폭이 더 컸던 탓이다. 총자산수익률(ROA·0.49%)과 자기자본이익률(ROE·9.4%)이 감소한 것도 언급된다.


우리금융도 앞서 탄탄한 자본관리 위주로 안정적인 영업체력을 확보하는 전략을 통해 지속가능성을 높이고, 자산운용 등 이익창출 나서겠다는 방침을 표명한 바 있다. CSM 향상을 비롯한 체질개선도 진행한다.


동양생명은 실적발표자료를 통해 “고정이하(NPL) 비율이 1.72%로 전분기 대비 0.92%p 상승했다"며 “자산듀레이션 확대를 통해 자본건전성을 강화하고, 대체투자에 대해서는 선별적으로 접근할 것"이라고 밝혔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