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전자 반도체 평택 2라인 전경.

▲SK하이닉스 반도체 이미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말폭탄'에 바짝 긴장하고 있다. 다음주께 품목별 관세율 발표가 예상되는 가운데 반도체에 '약 100%'의 높은 세금을 부과할 수 있다고 언급하면서다. 우리 기업이 피해를 입을 가능성은 낮아 보이지만 어디로 튈지 모르는 '트럼프 리스크'는 남아있다.
7일 업계와 주요 외신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6일(이하 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열린 애플의 대미 시설투자 계획 발표 행사에서 “우리는 반도체에 약 10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미국으로 들어오는 모든 집적회로(chips)와 반도체(semiconductors)가 부과 대상"이라며 “미국에 (공장을) 건설한다면 부과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5일 “다음주 정도에 (반도체 등) 품목별 관세를 더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업계는 상황을 예의주시하면서도 이번 발언의 파장이 크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구체적인 관세 부과 시기나 방법을 설명하지 않은데다 그동안 다른 국가와 보편관세 협상 과정에서도 갑작스런 발언을 계속해왔기 때문이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를 비롯해 대만 TSMC 등 반도체 업계에 대미 투자를 압박하려는 의도가 담긴 것으로 해석된다.
대통령실은 이와 관련 “한국 정부가 (반도체 분야에서) 최혜국 대우를 약속받았다"고 강조했다. 최혜국대우(MFN)란 무역에서 특정 국가에만 차등적으로 특혜를 부여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여한구 산업통상자원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 역시 라디오에 출연해 “만약 15%로 최혜국 세율이 정해진다고 하면 우리도 15%를 받는 것"이라며 “앞으로 100%가 되건 200%가 되건 상관없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AFP통신은 TSMC가 반도체에 대한 100% 관세를 면제받는다고 보도했다. 류징칭 대만 국가발전위원회(NDC) 주임위원이 의회 브리핑에서 “대만의 주요 수출기업이자 미국에 공장을 갖고 있는 TSMC는 (반도체 관세에서) 면제된다"고 언급했다는 내용이다.
삼성전자는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에 최첨단 파운드리 공장을 짓고 있다. 2나노 공정 등을 중심으로 경쟁력을 입증, 테슬라·애플 등을 고객사를 확보해둔 상태다. SK하이닉스는 인디애나주 웨스트라피엣에 반도체 패키징 생산기지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만들어진 반도체의 작업을 끝내는 마무리 후공정이다.
실제 반도체 관세 100%가 부과된다면 삼성·SK는 계산기를 두드려야 할 것으로 보인다. 파운드리 분야에서 삼성전자와 경쟁 중인 대만 TSMC는 워싱턴주와 애리조나주에 공장을 운영 중이다. 삼성이 딱히 수혜를 받을 여지가 적다는 뜻이다.
메모리반도체의 경우 삼성전자·SK하이닉스가 미국 마이크론과 '3강 체제'를 확립한 상태다. 다만 마이크론은 점유율이 가장 낮고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최첨단 분야에서 한국 기술을 따라오지 못하고 있다. 우리가 기술 우위를 지닌 상황에 반도체 관세가 부과되면 이를 수입하는 미국 빅테크 부담만 커질 것으로 예측된다. 엔비디아의 경우 HBM은 SK하이닉스, 다른 칩은 TSMC 대만 공장에서 수입하고 있다.
반도체에 고율 관세가 부과될 경우 미국 역시 비용 상승을 걱정해야 한다는 점도 포인트다. 반도체에 대한 관세 부과는 반도체가 들어가는 휴대전화, 자동차, 가전 등 디지털 시대에 필수적인 품목에 대한 가격 인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지난해 기준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 한국 기업의 대미 반도체 수출액은 약 106억8000만달러(약 14조7900억원)다. 수출 품목 중에는 자동차에 이어 두 번째로 큰 규모다. 다만 우리나라 전체 반도체 수출에서 미국 시장이 차지하는 비중은 7.5%에 불과하다. 중국(32.8%), 홍콩(18.4%)은 물론 대만(15.2%), 베트남(12.7%)보다 적은 비중이다. 한국 반도체 수출이 조립 및 가공을 위해 다른 국가를 거쳐 미국으로 들어가는 경우가 많아서다.
다만 미국이 반도체 뿐 아니라 반도체를 주력으로 만든 중간재 등에 관세를 부과할 경우 우리나라 산업에 미칠 파급력은 더 커질 전망이다. 미국은 앞서 철강에 품목 관세를 부과하다 이를 자동차·가전으로 확장 적용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불확실성이 남은 만큼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