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원그룹 사옥 전경
동원그룹이 지배구조 개편을 통해 식품계열사 4곳을 지주사인 동원산업 산하에 한데 모았다. 이를 계기로 식품 사업의 컨트롤타워를 바로 세우고, 현재 연간 5조7000억원 수준의 글로벌 매출액을 오는 2030년까지 10조원 규모로 키우겠다는 계획이다.
◇ 동원그룹, 식품사업 통합…글로벌 시장서 성장 동력 찾겠다
4일 동원그룹은 동원F&B가 지주사 동원산업의 100% 자회사로 편입됐다고 밝혔다. 지난 4월 그룹 내 국내외 식품사업을 통합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한 이후 4개월 만이다. 이로써 동원산업은 동원F&B와 동원홈푸드, 스타키스트(Starkist), 스카사(S.C.A.SA) 등 그룹의 대표 식품계열사 4곳을 모두 완전 자회사로 거느리는 지주회사 체계를 완성했다.
동원그룹이 이처럼 식품사업 통합을 단행한 이유는 글로벌 시장에서 새 성장 동력을 찾기 위함이다. 동원그룹의 연 매출은 지난 2015년 이후 지난해까지 연평균 약 8.9%씩 성장했으나, 지난 2022년 연매출 9조원을 돌파한 이후 역성장을 거듭했다.
성장이 정체된 주요 원인으로는 식품 부문의 글로벌 성장 동력 발굴 부진이 꼽혔다. 회사에 따르면 동원F&B의 지난해 글로벌 매출액은 973억원으로,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2%에 그쳤다. 미국 참치 시장의 시장점유율 약 46%를 차지하고 있는 동원산업의 글로벌 식품계열사 스타키스트(Starkist)의 경우 매출의 94.4%가 참치에 편중돼 있어 다른 콘텐츠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었다.
이번 지배구조 개편으로 식품 컨트롤타워인 '글로벌 푸드 디비전(GFD)' 출범이 본격화하면서 동원그룹 식품사업은 신속한 의사결정과 전략적 일관성, 효율적 자원 배분이 가능하게 됐다. 특히 회사는 동원F&B와 동원홈푸드가 갖춘 콘텐츠 역량에 스타키스트가 갖춘 글로벌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시너지를 내는 데 주력할 예정이다.
회사는 먼저 다양한 파일럿 사업을 통해 글로벌 사업 확장 가능성을 타진한다. 파일럿 사업은 해외시장 진출 가능성이 높은 품목을 선별해 시범적으로 운영한 뒤, 현지 반응과 성과를 토대로 개선·보완해 본격 확산하는 단계적 전략이다. 이를 통해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실행력을 높여, 글로벌 시장에 최적화된 제품 포트폴리오를 구축한다는 목표다.
◇ 해외 참치 공장서 펫푸드 생산…동원참치∙양반 등 글로벌 진출 '가속화'
가장 먼저 사업 확장에 속도를 내는 분야는 펫푸드 사업이다. 동원그룹의 펫푸드 브랜드 '뉴트리플랜'이 국내를 넘어 미국과 일본에서 성장을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동원F&B는 해외에 국내의 3배 규모에 달하는 신규 생산라인을 구축한다.
동원그룹 측은 “펫푸드 전용 생산라인 증설 후보로 스타키스트의 생산거점인 사모아 공장을 검토 중"이라며 “스타키스트는 동원F&B∙동원홈푸드와 공동 마케팅을 통해 현지에 특화된 연계상품 개발도 추진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국내 참치 통조림 시장에서 선두를 유지하고 있는 동원참치도 글로벌 사업 확장을 준비 중이다. 동원F&B는 세계적인 인기 가수인 '방탄소년단(BTS) 진'을 동원참치 브랜드 모델로 발탁하며 한정판 제품으로 'BTS 진 에디션'을 선보였는데, 글로벌 시장 수출 확대의 신호탄이 될 전망이다. 동원F&B는 이달부터 미국을 비롯해 오세아니아, 동남아시아 등으로 이 제품을 수출한다.
40년 전통의 한식 가정간편식(HMR) 브랜드 '양반'은 떡볶이, 조미김(양반김), 간편식을 중심으로 글로벌 시장을 개척할 계획이다. 2016년 출시돼 이미 30여 개 국가로 수출 중인 양반 떡볶이는 올해 상반기부터 미국 월마트, 일본 코스트코 등 주류 유통 채널에 진입하며 본격적으로 수출 물량이 증가하고 있다. 이를 통해 동원F&B는 '양반'을 K푸드의 대표 브랜드로 육성할 계획이다.
이 밖에도 일본에서만 한 해 1300만개 판매된 유산균 음료 '테이크얼라이브'는 대만에 이어 중국 수출을 앞두고 있으며, 장수 제품인 '쿨피스'도 수출을 앞두고 있다. 동원홈푸드의 저당∙저칼로리 소스 브랜드 비비드키친도 '김치 치폴레 마요', '김치 페스토 소스', '코리안 쌈장 BBQ소스' 등을 앞세워 미국, 호주, 베트남, 홍콩 등으로 수출을 가속화하고 있다.
동원그룹 관계자는 “사업 재편을 통해 그룹의 핵심 역량을 결집함으로써 글로벌 사업 확대를 위한 본격적인 성장의 기틀을 다지고 있다"며 “앞으로도 주주가치 제고와 지속가능한 기업 활동을 위해 총력을 기울일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