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효순

anytoc@ekn.kr

박효순기자 기사모음




커피 속 생리활성물질, 제2형 당뇨병 위험 줄인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7.27 18:07

클로로젠산 등 폴리페놀 효과로 식후 혈당 낮아져

인슐린 감수성 높이고 포도당 대사 촉진에도 기여

경북대·부경대 연구팀, 연구논문 149편 내용 분석

냉커피

▲설탕·프림·액상과당 같은 첨가물이 들어가지 않은 블랙 냉커피. 에너지경제신문 DB

블랙커피를 정기적으로 마시는 사람들은 제2형 당뇨병 발생 위험이 20∼30% 낮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7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국제분자과학저널' 최근호(26권 12호)에는 경북대 생명공학부 김상룡 교수와 부경대 식품영양학 전공 정운주 교수팀이 지금까지 전 세계에서 수행한 149편의 커피 관련 논문을 메타 분석(기존 여러 건의 개별 연구결과를 통계적으로 종합해 하나의 결론을 도출하는 연구방법)한 결과가 실렸다. 제목은 '커피와 주요 폴리페놀의 제2형 당뇨병 예방·관리에 관한 종합 리뷰'다.


연구 내용을 보면, 블랙 커피를 하루 3∼5잔 섭취하면 제2형 당뇨병 발생 위험이 20∼30%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런 효과는 커피 종류(카페인 유무)와 관계없이 일관되게 나타났다. 연구팀은 “디카페인 커피를 마셔도 같은 당뇨병 예방 효과를 보였다는 것은 카페인이 아닌 커피의 다른 생리활성 성분이 당뇨병 예방의 핵심임을 시사한다"고 풀이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구체적으로 커피의 대표 생리활성물질이자 폴리페놀(항산화 성분의 일종) 성분인 클로로젠산·카페인산·페룰릭산·p-쿠마릭산·시나픽산 등이 혈당을 조절하고 인슐린 감수성을 높이는 등 당뇨병 예방·치료를 돕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 근육·간 조직으로의 포도당 유입을 증가시켜 식후 혈당을 낮췄다. 또한 △염증 매개물질 억제 △활성산소 제거 △만성 염증 억제 △산화 스트레스 완화 등도 도왔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