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시중은행 창구의 모습.
5대 시중은행이 하반기 가계대출 총량 증가 목표액을 올해 초 설정했던 규모의 약 절반 수준으로 줄이기로 하면서 연말로 갈수록 가계대출 절벽 현상이 현실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은행권이 연말께 가계대출 목표치 달성 압박이 커지면서 대출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일 것이라는 분석이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은 이달 11일 금융당국으로부터 자료요구·제출시스템(CPC)을 통해 하반기 새 가계대출 총량 관리 목표를 요청받고, 최근 새로운 목표치를 제시했다.
6.27 가계부채 관리방안이 발표되기 전만 해도 5대 은행은 올해 정책대출을 제외한 연간 가계대출 증가액을 약 14조5000억원, 하반기 7조2000억원으로 잡았다.
그러나 이번에 당국에 제출한 목표는 약 3조6000억원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단순 계산으로 하반기에 당초 계획 대비 절반 수준인 3조6000억원으로 대출 여력이 줄어드는 것이다.
아직 금융당국과의 조율이 진행 중이라 은행별로 구체적인 목표는 확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상반기 가계대출 실적에 따라 축소율이 은행별로 차등 적용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문제는 은행권이 가계대출 총량 관리를 강화함에 따라 실수요자들의 불편이 커질 수 있다는 점이다. 이미 7월부터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3단계 규제가 도입된데다, 가계부채 관리 방안까지 추가로 시행되면서 은행권이 대출에 더욱 엄격한 기준을 적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나아가 은행권은 이주비, 중도금, 잔금 등 하반기 예정된 집단대출에서도 금리를 더 높여 제안하는 등 소극적인 태도를 보일 수 있다.
금융권에서는 집값과 주택 거래가 얼마나 안정을 찾는지가 관건이라고 진단했다. 하반기 전반적으로 주택매매가 줄어들면 가계대출 수요 자체가 새 총량 목표로 감당할 수 있는 수준까지 축소될 수 있다.